"탄소중립·에너지 전환은 국가 과제…정책적 지원을"
검색 입력폼
혁신도시

"탄소중립·에너지 전환은 국가 과제…정책적 지원을"

켄텍, 부산서 에너지정책연구소 창립 기념 포럼
재생에너지-산업 연결·AI 융합기술 적용 등 해법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가 28일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에너지정책연구소(KEPI)’ 창립 기념 포럼을 개최했다.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가 28일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에너지정책연구소(KEPI)’ 창립 기념 포럼을 열고 국가 에너지 대전환의 해법을 제시했다.

‘미래에너지·AI 리더 양성 전략’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에서는 △K-에너지 신산업의 글로벌 동향과 정책 방향 △에너지 안보와 AI 융합 전략 △산·학·연·정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이 논의됐다.

켄텍은 지난 5월 글로벌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정책연구소를 설립했다. 향후 설립될 에너지정책대학원의 기반을 조성하고,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 등 변화하는 글로벌 에너지 환경에 대응하는 전문 정책연구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박진호 총장직무대행은 개회사에서 “에너지정책연구소의 출범은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 연계한 켄텍의 확장된 역할을 상징한다”며 “AI 기반 정책 모델링, 산업 맞춤형 기술 솔루션, 인재 양성의 삼각축을 통해 국가 에너지 미래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포럼은 산업통상자원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이 공동 주최한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의 주제 ‘Energy for AI & AI for Energy’와도 궤를 같이 했다.

기조연설에는 이종영 전기위원회 위원장과 Ali Izadi 블룸버그NEF 아·태 총괄 디렉터가 나섰다.

이 위원장은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라며 장기적 전력망 확충과 정책적 지원을 강조했다.

Izadi 디렉터는 AI와 에너지 산업 융합이 가져올 구조적 변화를 전망하며 글로벌 흐름을 짚었다.

이어진 발표에서는 켄텍 교수진과 산업계 전문가들이 구체적 해법을 제시했다.

김승완 교수는 “AI 기반 분산전력망과 ‘에너지 고속도로’ 개념으로 재생에너지와 산업 클러스터를 연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K-그리드테크 개발 전략’을 분석했다.

김집 교수는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을 강조했고, 이효섭 인코어드 부사장은 ‘에너지 AI 융합기술’의 산업 적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정부·학계·산업계 대표들이 탄소중립, 디지털 전력망 구축, 사회적 수용성 문제를 놓고 의견을 나눴다.

이원용 산업부 에너지MD는 “재생에너지 확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등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K-그리드, 모델링 정책, 에너지 AI 융합을 실증에서 상용화까지 이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손정락 KAIST 교수는 “데이터 기반 정책 모델링이 에너지정책 신뢰성을 높이는 핵심”이라고 지적했고, 강민석 한전 경영연구원장은 켄텍의 3대 전략을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통합 해법”으로 평가했다.

문승일 에너지정책연구소장은 “화석연료 중심 체계를 넘어 대규모 재생에너지 기반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연구소가 정책·기술·인재를 연결하는 전략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