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연구원(원장 김영선)은 10일 발간한 ‘JNI 이슈리포트’ 해양쓰레기 관리 효율화를 위한 전남의 정책 방향에서 전남의 해양쓰레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자원순환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과 지속가능한 관리체계 구축을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전남 해양쓰레기 유입량은 5만 8173t으로 전국 비중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해상 기인이 55%였으며, 특히 양식장 기인이 32.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같은 해 전남 해양쓰레기 현존량은 8만 8000t에 달했고, 약 72%가 해저에 침적된 상태였다. 주요 원인은 플라스틱 부표, 폐어구, 어망 등 어업 활동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전남은 시·군별 관리 기준을 통일하고, 해양폐기물 관리법과 연계한 광역지자체 차원의 관리 조례를 정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어구·양식품목별 분류 세분화, 지역 간 대응 격차 해소, 연안권 통합 대응을 위한 지원 규정 마련 등이 핵심 과제로 꼽혔다.
또한 어민이 직접 참여하는 수거 제도를 도입해 수거부터 선별·매각·보상까지 일원화할 필요가 강조됐다. 이를 통해 폐어구 회수율을 높이고 수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거·처리 및 재활용 인프라 확충도 시급한 과제로 지적됐다. 구체적으로 △해상 수거장비 보강 △선상 집하장 확대 설치 △소규모 광역 처리장과 임시 적치장 확충 등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보고서는 또 국제적 지속가능성 인증 기준인 ASC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양식 관리, 해양폐기물 정화사업·어촌신활력증진사업과의 연계 필요성을 강조했다. 노후 어선을 활용한 수거 장비 대체, 친환경 처리시설 확충, 괭생이모자반과 패각 자원화 모델 개발도 대안으로 제시됐다.
특히 AI·드론·위성영상·GIS 기반의 탐지 및 분류 체계를 도입해 해양쓰레기의 발생량과 위치를 정밀 파악하고, 어업인 인센티브 제도, 청소년 교육·캠페인 등 예방 중심의 관리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이 부각됐다. 동시에 해양쓰레기를 활용한 바이오플라스틱·연료화·생분해 소재 개발 등 R&D 투자 확대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은옥 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전남은 해양쓰레기 발생량이 높은 만큼 수거·재활용 중심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예방 중심 관리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AI 기반 모니터링과 어민 참여형 제도 도입을 통해 지속가능한 해양환경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