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 해양쓰레기 대책 마련 절실하다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전남 해양쓰레기 대책 마련 절실하다

전남 해역에 지난 2022년 기준 연간 5만 8173t의 해양 쓰레기가 발생했다고 한다. 이는 이 기간 전국 발생량 12만 6035t의 46%가 넘는 수치다.

전남에 연근해 어업과 양식업이 발달해 해양 쓰레기 발생량이 다른 지역이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데 따른 것이다.

전남연구원은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해양쓰레기 관리 효율화를 위한 전남의 정책 방향’ 이슈리포트를 발표했다.

여기서 통상 해양 폐기물은 발생원인으로 육상에서 흘러 들어오는 육상기인과 어업·양식 등 해상활동을 통해 생겨나는 해상기인으로 구분한다.

해양수산부는 국내 해양쓰레기 발생 원인을 육상기인 65%, 해상기인 35%로 추정하고 있는데 전남은 당시 연간 유입량의 절반 이상인 55%가 해상기인이었다고 한다. 이중 주로 양식장에서 버려지는 폐 스티로폼 부표나 폐어구 등이 32.4%나 차지했다.

이들 폐기물의 상당 수는 전용 분리배출 시설 및 공간 부족으로 수거되지 못한 채 방치되면서 바닷속에 쌓여 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전남 해역 존재 쓰레기 8만 9298t 중 72.1%가 바닷속에 가라앉은 ‘침적쓰레기’였고 이 중 62.5%가 양식장에서 나온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문제는 이들 폐기물이 단순한 환경오염 문제를 넘어 해양 생태계 파괴, 더 나아가 어업 생산성 저하, 선박사고 증가 등 인명·재산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는 데 있다.

실제로 2022년 전국 부유물 감김 사고 339건 중 33.9%인 115건이 전남에서 발생하는 등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

즉, 전남 해양쓰레기 문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해양폐기물 관리법과 연계된 광역지자체 차원의 관리 조례 정비, 지역 실정에 맞는 수거·선별·매각·보상까지 일원화된 ‘어민 참여형 수거 시스템’ 도입 등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다.
해양쓰레기는 현 세대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바다를 물려주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니 만큼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해양쓰레기는 현 세대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바다를 물려주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니 만큼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