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 유수의 인문사회 연구소 중 단 두 곳만이 뽑힌 가운데, 이공계 특성화대학으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리며 의미를 더했다.
학습디자인연구소는 앞으로 3년간 약 20억원(연간 6억70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이달부터 2028년 8월까지 연구를 진행한다. 핵심 목표는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 특수학교 교실’을 개발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특수교육 혁신과 정책 전환을 견인하는 것이다.
이번 과제는 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 분석이나 단순 장치 개발에 머물렀던 기존 연구와 달리,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인지·정서·행동·사회성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교사·학부모·학교 간 데이터 기반 소통을 강화해 전인적 발달을 돕는 새로운 교육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과정에서 축적되는 방대한 멀티모달 학습 데이터는 맞춤형 교수설계와 교육정책 모델 개발의 토대가 된다. 동시에 기존 인공지능이 다루기 어려웠던 복합적 인간 학습 데이터를 정밀하게 학습하는 데 활용돼, 인공지능의 인지·정서·행동 이해 능력을 확장시키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이는 교육학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넘어 인공지능 분야 전반의 기술적 도약을 이끄는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박진호 켄텍 총장직무대행은 “켄텍이 이공계 특성화대학으로서 인문사회 융합연구 사업에 선정된 것은 대학의 연구 스펙트럼을 넓히고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는 중요한 성과”라며 “세계 최초 인공지능 특수학교 교실 개발을 통해 교육격차 해소와 포용적 교육 혁신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켄텍 윤승현 교수와 조숙경 교수, 중부대학교 강은영 교수, 광주과학기술원(GIST) 공득조 교수가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한다. 교육공학, 인공지능, 특수교육, 교육정책 등 각 분야 전문성을 결집해 학문적 완성도와 사회적 확산 가능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