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일 한전에 따르면 서울 한전 아트센터에 자체 개발한 유리창호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패널을 설치하고 가동을 시작했다. 패널 최대 출력은 약 100W로, 발전 전력을 활용해 35W 실내 분수대와 5W LED 조명을 동시에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설치된 패널은 15×15㎠ 크기의 페로브스카이트 모듈 54장을 병렬 배열한 것으로, 모듈 효율은 11~13%, 투과율은 30% 이상을 기록했다. 이를 통해 창호 기능을 유지하면서 외부 조망이 가능하며, 후면에는 KEPCO 로고를 활용한 스테인드글라스 디자인을 적용해 건축물의 미관까지 고려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새 정부의 경제성장 전략인 ‘초혁신경제 15대 프로젝트’에 선정된 기술로, 기존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에 비해 저비용·고효율·경량화·투명성에서 강점을 지녀 차세대 BIPV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한전은 2017년부터 관련 연구를 시작해 소자 개발, 모듈 면적 확대, 패널 제품화 등 전 과정을 자체 기술로 이어왔으며, 현재 100W급 실증 및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다.
아울러 200W급 패널 개발도 진행 중이다. 향후 한전은 박막 제작 기술 고도화, 모듈 내구성 강화, 양산 공정 최적화를 거쳐 2030년 한전 경기본부 신축 사옥에 시범 적용, 국내 최초 상용 건축물 적용 사례를 구현할 계획이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이번 시작품 설치는 도심 빌딩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기술 공개를 통해 태양전지·창호 제작사와 BIPV 사업자 간 파트너십을 확대하는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한전이 제로에너지빌딩 실현과 미래 BIPV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