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은퇴 후 자산관리…절약보다 전략을"
검색 입력폼
경제일반

"100세 시대 은퇴 후 자산관리…절약보다 전략을"

[광주경총,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초청 제1702회 금요조찬포럼]
퇴직 후 재취업·연금계좌 등 ‘우물형 자산’ 강조
유언장 작성법 안내도…지속적 실천·행동 당부

광주경영자총협회(회장 양진석)는 31일 광주 서구 홀리데이인 광주호텔 3층 컨벤션홀에서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를 초청해 제1702회 금요조찬 포럼 특강을 개최했다.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가 31일 제1702회 광주경총 주관 금요조찬포럼에서 ‘은퇴 후 자산관리, 절약보다 전략이 필요하다’란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100세 시대는 축복인 동시에, 노후를 위해 더 많은 자산을 모으거나 보유 자산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31일 광주 서구 홀리데이인광주호텔 3층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1702회 금요조찬포럼에서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는 ‘은퇴 후 자산관리, 절약보다 전략이 필요하다’를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상무는 편안한 노후를 위한 핵심 조건으로 ‘곳간형 자산’과 ‘우물형 자산’을 제시했다.

그는 “곳간형 자산은 예금·주식·채권·부동산처럼 쌓아두는 형태로, 자녀 결혼이나 해외여행, 의료비 등 재량적 지출에 사용된다”며 “반면 우물형 자산은 국민연금, 퇴직연금, 주택연금 등 매달 생활비로 활용되는 현금흐름을 만들어내는 자산”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자신의 수명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예금이나 주식 등 ‘곳간형 자산’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죽을 때까지 마르지 않는 ‘우물형 자산’을 갖추는 것이 안정된 노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직장인이 안심하고 지출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 달 급여가 들어온다는 보장이 있기 때문”이라며 “우물을 얼마나 깊게 파고, 폭을 얼마나 넓힐지는 각자의 상황에 맞춰 설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상무는 국민연금연구원의 ‘2023년 제10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를 인용해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다.

그는 “정년퇴직 후 생활비를 마련하려면 재취업이나 퇴직급여, 연금계좌 등이 필요하다”며 “전국 월평균 최소 노후 필요생활비는 부부 217만1000원, 개인 136만1000원이고, 적정 생활비는 부부 296만9000원, 개인 192만1000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퇴직급여 수령 및 절세 전략과 관련해서는 “퇴직금을 한 번에 받기보다 반드시 연금 형태로 수령해야 한다”며 “연금으로 받을 경우 퇴직소득세를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상속 전략에 대해서는 “상속이 개시되면 피상속인의 재산조사부터 상속재산 분할, 승인·포기 절차, 부동산 취득세 신고·납부, 상속세 신고·납부 순으로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상속인이 여러 명일 경우에는 피상속인의 유언이 최우선으로 적용되는 ‘지정상속’, 공동상속인 전원의 합의에 따른 ‘협의상속’, 유언이나 합의가 없는 경우의 ‘법정상속’으로 나뉜다”고 덧붙였다.

김 상무는 유언장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유언장이 없으면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법에서 정한 순위와 지분대로 재산이 분할된다”며 “유언장은 이름, 날짜, 전문, 주소를 모두 자필로 작성하고 도장을 찍어야 효력이 인정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람들은 어제 하지 않은 일을 후회하고, 내일 할 일을 걱정하지만 정작 오늘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며 “나만의 규칙을 세우고 꾸준히 행동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송태영 기자 sty1235@gwangnam.co.kr         송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