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산업 상생 발판…광주·전남 행정통합 새 길을"
검색 입력폼
정치일반

AI산업 상생 발판…광주·전남 행정통합 새 길을"

글로컬정책연구원, 토론회…문인 북구청장 등 참여

사단법인 글로컬정책연구원은 7일 오후 4시 5·18민주화운동교육관 대강의실에서 ‘AI산업의 상생성장과 광주·전남의 행정통합’을 주제로 다섯 번째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국가 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 무산과 전남도 선정이라는 최근의 상황을 단순한 지역 경쟁이나 실패로 보지 않고, 이재명 정부의 ‘5극 3특 균형성장 전략’과 ‘초광역 협력체계 구축’ 기조 속에서 광주·전남 행정통합의 새로운 출발점으로 삼기 위해 마련됐다.

광주와 전남은 생활권·산업권·문화권에서 이미 하나의 공동체처럼 긴밀히 연결돼 있지만, 제도적 장벽으로 인해 산업 유치와 재정 협력 등에서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AI·에너지·모빌리티 등 미래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두 지역의 상생 협력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번 토론회의 주제 발표는 박승주 전 여성가족부 차관이 맡아, 한국 행정구역 개편의 변천 과정을 짚고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의 시사점을 제시하며, 시·도 통합이 지역민 삶에 미칠 변화를 조명할 예정이다.

이어 토론에는 이영철 전남대 행정학과 명예교수, 오승용 메타보이스(주) 이사, 문인 광주 북구청장 등이 참여한다.

이영철 교수는 광주와 전남의 광역통합은 우리 지역을 살릴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로 반드시 가야할 길임을 강조한다. 이어 지역 정치인의 미래 비전 제시와 갈등 조정의 역할이 그 어느 시기 보다 발휘되어야 할 때임을 주장할 예정이다.

오승용 이사는 “광주와 전남이 인공지능(AI)을 매개로 상생 협력하고 최종적으로 행정통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단계적인 접근과 함께 AI를 활용한 공동의 혁신 모델 구축 논의에서부터 광역연합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시한다.

문인 북구청장은 “광주와 전남의 산업 구조는 상호보완적이며, 분리된 체계가 아니라 통합된 전략으로 접근해야 국가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밝히며, 광주가 중앙정부에 요구해야 할 정책과제로 AI 융복합산업에 대한 대기업 참여와 정부 지원의 제도화, 균형발전특별회계 및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개편, 국가 SOC 사업에 대한 지방비 부담 완화 등을 제안할 예정이다.

사)글로컬정책연구원 관계자는 “광주와 전남이 전략적 협력을 통해 손을 맞잡을 때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미래산업 정책이 비로소 완성될 수 있다”며 “함께하지 않으면 공멸이고, 함께하면 세계 속에서 지속 가능한 공존과 번영을 이룰 수 있다. 이번 토론회가 호남의 미래를 위한 진정한 통합과 혁신적 상생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