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민석 국무총리가 1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12.29여객기참사 피해지원 및 추모위 위촉식에서 박미경 위원장과 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12·29 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위원회(이하 추모위)’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출범식을 갖고 첫 회의를 열었다.
추모위는 지난 6월 시행된 ‘12·29여객기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국무총리실 산하에 20인 이내의 위원(당연직 10명, 위촉직 10명)으로 구성됐다. 임기는 2년이다.
추모위 위원장은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함께 추모위를 이끌어 갈 민간위원장에 임명된 박미경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추모위에 제주항공 여객기참사 유가족들의 추천을 받아 민간위원으로 참여하는 10명의 전문가도 이날 위촉장을 받았다.
임태호 천지합동법률사무소 변호사, 정찬영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교육부위원장, 노경란 성신여대 교육학과 교수, 유해정 4·16재단 부설 재난피해자권리센터장, 최완욱 광주인권지기 활짝 대표, 박성기 서울과기대 건축학과 교수, 박용진 청운대 산학협력단 지역협력센터장, 마동욱 도화엔지니어링 전무, 김유진 제주항공여객기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이다.
당연직 위원은 김 총리와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최교진 교육부 장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등 모두 10명이다.
김 총리는 추모위 위촉식에서 “참사 후 1년의 시간이 지났다. 앞으로 시간이 더 지난다고 해도 고통이 다 가겠나”라고 유가족을 위로하며 “관계 부처는 지원, 절차 등을 유가족에게 신속하고 소상하게 알려드리고 필요한 지원을 받으실 수 있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이어 “멈춰진 시간을 다시 움직이게 하는 것은 우리 사회와 공동체가 함께 아픔을 감당하고 동일한 비극을 반복하지 않겠단 약속을 실천하는 것”이라며 “위원회는 안타깝게 돌아가신 179분의 희생자 한 분 한 분을 기억하면서 안전한 나라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유가족분들의 목소리에 최우선으로 귀를 기울여서 고통을 치유하고 온전한 일상을 회복하는 일이 하루빨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살피겠다”며 추모위 위원들에게 “유가족들께서 (저희를) 찾기 전에 먼저 다가가서 여쭙고 또 어려움이 해소될 때까지 챙겨 주는 그런 마음가짐을 가져주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추모위는 △피해자 확인과 생활지원·심리상담·치유휴직·교육 등 공동체 회복 지원사업 △추모공원 조성과 추모기념관·추모비 건립 등 추모사업 △재단 및 사단의 선정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 의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정부는 여객기참사 피해자 지원 차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 예산’을 피해지원·추모위의 의결을 거쳐 내년 예산에 반영할 예정이다.
의결에 앞서 정부가 마련한 피해지역 경제활성화 사업 예산안은 국비 1073억 원을 비롯해 모두 1327억 원이다.
타 국제공항 연계상품 운영 교통비지원 등 피해관광업계지원사업에 44억 원, 무안상권 활성화 등 소상공인·주민지원사업에 122억 원, 국도 2호선 진입도로 신설 등 관광문화기반마련 사업에 1161억 원이다.
한편 여야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를 실시키로 합의해 국정조사 요구서가 지난달 26일 국회 본회의에 보고됨에 따라 조만간 국정조사 특위가 구성될 전망이다.
문금주 원내대변인은 “여야 간 이견이 없는 만큼 국정조사 특위를 구성하고 본회의에 상정을 거쳐 특위를 조만간 본격 가동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12 (수) 21: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