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1인당 누리는 도시숲 면적 ‘전국 1위’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전남, 1인당 누리는 도시숲 면적 ‘전국 1위’

산림청 "생활환경 지표…2027년까지 15㎡로 확대"

주민 1인당 누리는 ‘생활권 도시숲’ 면적이 가장 넓은 곳은 전남으로 나타났다. 광주는 전국 평균을 조금 웃도는 수준으로 12위를 기록했다.

11일 산림청 전국 도시숲등 현황자료에 따르면 광주의 생활권 도시숲등 면적은 2021년 1797㏊에서 2036㏊, 전남은 2021년 2775㏊에서 2023년 3405㏊로 넓어졌다.

광주와 전남의 1인당 생활권 도시숲등 면적(2023년 말 기준)은 각각 14.34㎡, 27.89㎡로 나타났다. 전남은 17개 시·도에서 1위, 광주는 12위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1인당 생활권 도시숲등 면적은 14.07㎡였다.

17개 시도별로 보면 전남이 가장 넓었고, 이어 충북(23.10㎡), 강원(22.64㎡), 전북(20.96㎡), 울산(18.65㎡) 등의 순이었다.

반면 대전(9.85㎡), 경기(11.07㎡), 인천(11.67㎡), 대구(12.48㎡), 서울(13.08㎡), 광주 순으로 1인당 생활권 도시숲등 면적이 좁았다.

1인당 생활권 도시숲등 면적은 도시민의 쾌적한 생활환경 정도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도시숲등은 보건·휴양 및 정서 함양과 체험활동 등을 위해 조성·관리하는 산림·수목인 도시숲과 마을 주변에 조성·관리하거나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해 만들어진 생활숲(마을숲·경관숲·학교숲), 가로수 등으로 구성됐다.

광주·전남의 시·군·구별로 보면 1인당 생활권 도시숲등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분석됐다.

광주는 광산구가 19.76㎡로 가장 넓었고, 이어 동구(16.25㎡), 북구(12.73㎡), 서구(11.91㎡), 남구(9.67㎡) 순으로 집계됐다.

전남에서는 신안군(300.72㎡), 강진군(185.69㎡), 장흥군(57.21㎡), 함평군(48.63㎡), 장성군(41.88㎡) 순을 보였다.

반면 해남군(6.97㎡), 영광군(8.87㎡), 구례군(9.07㎡), 곡성군(10.80㎡), 고흥군(14.19㎡)으로 1인당 생활권 도시숲등 면적이 좁았다.

산림청은 2027년까지 1인당 도시숲 면적을 15㎡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생활권 도시숲등은 시민의 다양한 활동 장소로 활용되고 환경적 기능이 높다”며 “도심의 생태환경을 개선하는 기능으로서의 도시숲등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태영 기자 sty1235@gwangnam.co.kr         송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12일 오전예보]대체로 맑음. 13일 오후부터 구름많음
- [부고] 이옥현(전남매일 장흥 이사)씨 모친상
- '첫날 10시간 마라톤회담' 미중, 이틀째 무역협상 돌입
- [기고]일자리와 소상공인, 지역 경제 회복의 두 축
- 이재명 "반역사·반민주공화국 세력 반드시 제압하자"
- 광주 동구 인쇄의 거리 복합거점시설 ‘첫 삽’
- 광주 북구, 제21대 대선 투표율 향상 총력
- 전남대·조선대 의대생 80~90% ‘유급’ 대상
- 광주 속도위반 1위 ‘동구 학강초 스쿨존’
- 한빛원전 5호기 터빈건물 공기압축기 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