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여름철 집중호우 대비 산사태 대책상황실 운영
검색 입력폼
자치

전남도, 여름철 집중호우 대비 산사태 대책상황실 운영

10월 15일까지…우려지역 일제점검해 현장조치 완료
취약지역 145곳 신규 지정하고 주민 대피체계 구축도

전남도는 여름철 산사태 재난 대비를 위해 오는 10월 15일까지 대책상황실을 운영한다. 사진은 대책회의 모습.
전남도는 여름철 산사태 재난 대비를 위해 오는 10월 15일까지 대책상황실을 운영, 도민 생명 보호와 재산 피해 최소화를 위해 온힘을 쏟는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올해 여름철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40%로 예측됨에 따라 22개 시군과 함께 산사태 대책상황실을 운영한다. 특히 산사태 위기 경보 단계별 비상근무, 기상특보 모니터링, 산사태 예측정보에 따른 신속한 주민대피, 산사태 피해지 응급복구 등에 나설 방침이다.

전남도는 그동안 산사태 취약지역 2천346개소와 산지전용지 등 산사태 우려지역 2018개소 일제점검을 2회 실시하고, 469개소에 대한 현장조치를 완료했다. 105개소에 대해선 시설 보강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산사태 피해지 9개소 3.2㏊의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우기 전에 복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산사태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사방댐 111개소, 계류보전 42개소 등 총 201개소에 대한 예방사방사업도 조기에 완료할 계획이다.

산사태 발생 우려가 높은 지역 145개소에 대해 산사태취약지역으로 신규 지정하고 7490가구, 1만 490명에 대해선 주민 대피체계를 구축했다.

토석류 피해예측지와 인위적변화지 1만 9679필지에 대한 정보분석 및 현장조사를 실시 중이며, 조사 결과 위험 요소가 높은 곳은 인명피해 우려지역으로 지정·관리할 계획이다.

올해는 산중 나홀로 거주자와 산지전용 등 최근 환경 변화지 인접지역 거주자를 파악해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집중호우 대비 마을안전지킴이 1782명을 운영해 유사시 초동조치 등 산사태 선제적 대응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4월에는 지난해 산사태가 발생했던 장흥읍 연산리 신흥마을에서 시군, 경찰, 소방, 산림조합, 국유림관리소, 지역 주민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민 대피훈련을 실시하며 산사태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박종필 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산사태는 다수의 인명과 재산 피해 우려가 높아 선제적 예방과 대응이 가장 중요하다”며 “도민 모두 산사태 국민행동요령을 숙지해 산사태 우려 시 긴급재난문자, 방송 등 안내에 따라 신속하게 대피하는 등 적극적으로 협조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인재 발굴·육성 집중…전남체육 발전에 온 힘"
- AI페퍼스 고예림 "팀 우승 목표로 달릴 것"
- 프로야구 외부 FA 잔혹사…40억 클럽 전원 1군서 사라졌다
- 세계탁구선수권서 '라스트댄스' 마친 38세 맏언니 서효원
- 김승희 축구협회 전무 "광주 징계 사태, FIFA와 계속 소통"
- 체육 꿈나무들의 선전을 기원하며
- "누구나 즐기고 체험하는 AI·소프트웨어 교육 축제"
- 현직 교사에 ‘국민의힘 교육특보 임명’ 문자 논란
-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 수사 본격화
- "대선 사전투표 준비 착착…안심하고 참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