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 도시민 ‘귀농·귀촌 1번지’ 자리매김
검색 입력폼
해남

해남군, 도시민 ‘귀농·귀촌 1번지’ 자리매김

귀농 847·귀촌 7446가구 등 6년간 8331가구 9444명 정착
체계적 지원 정책·프로그램 운영…전남 1위·전국 3위 기록

귀농귀촌 팸투어
귀농어귀촌 체류형 지원센터 교육
귀농어귀촌 체류형 지원센터 교육
노후 안정적 생활을 희망하거나 인생 2막을 농촌에서 꿈꾸는 도시민들의 해남으로 향하는 발길이 늘고 있다.

9일 해남군에 따르면 해남 귀농·귀촌 인구가 최근 6년간 8331가구, 9444명에 이르고 있어 귀농귀촌 1번지로서의 위상을 새롭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난 2019년 귀농·귀촌 유치를 본격화 한 이래 지금까지 6년간 귀농인 847가구 1014명, 귀촌인 7446가구 8468명의 인원이 해남에 정착했다.

귀농인은 도시지역에서 1년이상 거주하다가 해남으로 이주해서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농업인이고, 귀촌인은 농업이 아닌 다른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특히 해남군은 지난해 귀농인 유입이 총 123명으로 전남 1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에서도 세 번째로 높은 숫자로, 해남이 귀농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남군은 전국에서 가장 넓은 경지면적과 친환경인증 면적을 보유하고, 다양한 특화작목 등 농업기술이 잘 보급돼 귀농인들이 정착해 농업에 종사할 최적지로 손꼽히고 있다.

특히 체계적인 귀농 정착 지원 정책과 실전 중심 프로그램이 운영돼 귀농·귀촌인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고 있다.

군은 귀농을 준비하는 예비 귀농인부터 실제 정착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원스톱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농업기술센터 귀농귀촌팀의 초기 상담과 더불어 농지 확보, 주택 수리·임대 지원, 귀농 창업자금 연계 등 행정적·재정적 뒷받침이 더해져 정착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사비 지원, 영농 창업 상품권 등 실질적인 경제적 혜택이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종합적인 지원 체계가 전국의 귀농 희망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영농정착 확대 지원사업’을 통해 초기 종자 구입비부터 단계별 포장박스 제작, 홈페이지 구축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해 실질적인 정착에 실효성을 더하고 있다.

이번 귀농인 유입 전남 1위, 전국 3위 달성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저출산, 고령화로 지역 소멸 위기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촌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으며, 귀농인이 지역사회에 안정으로 정착함으로써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도 함께 높이고 있다.

군은 앞으로도 청년 귀농인 유입 확대와 창업 지원 강화, 지역 공동체와 연계한 정착형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귀농·귀촌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다져나갈 계획이다.

해남군 관계자는 “해남은 단순히 귀농을 위한 땅이 아니라 새로운 삶을 설계할 수 있는 기회의 공간으로 더 많은 이들이 해남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정주여건 개선과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해남=성정수 기자 sjs8239@gwangnam.co.kr         해남=성정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광주·전남 낮 기온 35도…19개 시·군 폭염경보 지속
- 광산구, 외국인노동자 대상 온열질환 예방 캠페인
- 광산구 신창동 지사협, ‘복달임 및 효잔치’ 행사
- 박대윤 치우치과 광주두암점 대표, 담양에 고향사랑기부금 기탁
- [전남 담양 복숭아 농가 가보니] "숨 막히는 폭염에 농사 망쳤다"
- "광주·전남 마약범죄 심각…공급·유통 차단 절실"
- 항꾸네봉사단, 수문해변서 ‘발바닥과 모래알의 만남’ 행사
- [취재수첩] ‘마약 청정국’ 지위 회복하길
- [독자투고]기초질서 확립, 우리의 품격
- [민선 8기 3년]박병규 광주 광산구청장 "낮은 자세, 현장서 답 찾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