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40대 B씨는 여행사를 통해 오는 11월 3~11일 지인 6명과 캄보디아 여행을 추진했다. 그러나 비행기 발권까지 마친 상황에서 여행을 취소하기에 이르렀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감금·폭행 사건이 우려돼서다. B씨는 부랴부랴 여행사에 관련 내용을 전달하고 수수료도 포기한 채 여행 일정 일체를 취소했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피살사건 여파가 광주·전남지역 여행업계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21일 외교부 등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캄보디아 보코르산·바베트시·포이페트시 등 접경 지역을 여행 금지(4단계)로 지정했다. 또 캄보디아 내 우리 국민의 취업 사기 및 감금 피해 신고가 가장 많이 접수된 지역 중 하나인 시하누크빌에 대한 여행경보를 3단계 ‘출국 권고’로 변경했다.
‘여행금지’는 외교부가 지정하는 최고 수준의 경보다. 해당 지역에 대한 모든 여행이 금지되며 여권의 효력도 정지된다. 여행금지 조치를 위반할 경우 여권법 제26조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현재 정부는 캄보디아 현지에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한 합동대응팀을 파견하고 국가수사본부장도 출국해 대학생 피살 사건을 공동조사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불안 심리는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는 결국 광주·전남지역 여행업계로 불똥이 튀었다.
캄보디아뿐만 아니라 태국·미얀마·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에서 각종 범죄 소식이 나오면서 이들 국가로의 여행을 망설이거나 수수료를 감수하고 여행을 취소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가 되는 일부 지역은 주요 관광지와 무관해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불안 심리 확산에 따른 수요 위축 우려가 상당하다.
실제로 A여행사의 경우 이달과 다음 달 2건의 캄보디아 여행 패키지 예약을 추진했으나 최근 모두 취소했다.
B여행사는 내년 초 단체 동남아시아 여행의 일정 등을 조율하고 있었으나 결국 모든 계약이 무산됐다.
또 일부 저가항공의 경우 12월 일부 동남아 직항을 계획했으나 이를 취소하려는 경우도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광주·전남지역 여행사들은 코로나19, 무안공항 참사 등으로 큰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또다시 악재를 맞아 비상이 걸렸다.
한 여행사 관계자는 “광주·전남에서 동남아 지역으로 향하는 직항 노선이 없어 타 지역에 비해 영향이 적다”면서도 “인천, 청주공항 등을 이용하는 다른 동남아 여행의 취소가 이어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다소 침체됐던 지역 여행업계에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고 있었는데 다시 분위기가 가라앉고 있다. 현재의 상황이 길어지면 지역 업계에도 큰 타격이 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