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의장인 이재명 대통령이 1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제2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 |
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의가 열린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미래의 변화에 준비된 아시아태평양의 비전’이라는 주제의 두 번째 세션을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통해 “인공지능 역량 상위 10개국 중 5개국이 APEC 회원이다. 인공지능(AI)이라는 거대한 변화를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AI 이니셔티브의 중요한 원칙에 대해 “기술 혁신이 포용 성장을 이끄는 AI 기본사회와 모두를 위한 AI”라며 “대한민국은 전 세계인 모두가 기술 발전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글로벌 AI 기본사회 실현을 핵심 비전으로 삼았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이 주도적으로 아시아·태평양 AI 센터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국은 국가적 차원의 ‘AI 대전환’을 추구하고 있다. 대규모 AI 데이터 센터 등의 인프라를 확충해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규제 개선에도 앞장서서 글로벌 기업들이 자유롭게 혁신할 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한국이 추진하는 아시아태평양 AI 센터 역시 AI 격차 해소가 목표”라고 밝혔다.
인구 문제에 대해서도 공동 대응을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저출생 고령화에 따른 인구 문제도 언급하며 “인구구조 변화는 경제성장, 노동시장, 교육, 복지 등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사안”이라며 “그렇기에 각 국가의 부분적이고 개별적인 대응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PEC 회원들이 이 사안에 대해 머리를 맞댈 수 있는 ‘APEC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또 “AI 시대 및 인구구조 변화라는 거대한 파고에 대응하려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만 한다. 대한민국은 문화창조산업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태지역은 이미 전 세계 문화창조산업의 성장엔진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 올해 APEC에서는 최초로 문화창조산업에 대한 고위급 대화도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APEC은 수십년간 당면한 과제들을 해결할 ‘아이디어 인큐베이터’로 자리매김해 왔다”며 “유구한 전통을 이어받아 오늘 회의에서도 AI 시대와 인구구조 변화라는 공통 과제에 대한 창의적 해법을 찾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02 (일) 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