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는 지난 9월30일 지정 신청서를 제출한지 50여일만에 이뤄진 것으로 광양시는 이날부터 2년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다. 철강산업 위기로 지정되기는 8월 포항에 이어 두 번째다.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은 지역의 주된 산업이 침체 위험에 직면했을 때, 정부가 범부처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집중 지원하는 제도로 경제·산업분야 특별재난지역을 뜻한다.
사실 광양시는 수십 년간 철강을 기반으로 산업을 발전시켜 온 곳으로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를 철강산업에 의존하고 있다.
충남 당진, 경북 포항과 함께 국내 3대 철강 도시로 불릴 정도였다.
하지만 국내 철강산업이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저가 수입재가 범람하면서 단가 하락 등 가격 경쟁력을 잃어 내수부진에 빠졌고 여기에 미국이 올해 6월부터 철강 수입품에 50%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며 수출 역시 심각한 부진에 빠져 광양 지역경제는 그동안 크게 위축돼 왔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광양시는 올초부터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선제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해 왔다.
지난 2월에는 포항·당진시와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공동건의문을 발표했으며,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대응 간담회, 광양·순천 상공회의소 공동 건의, 여수·순천·광양 3개 시의 경제위기 극복 공동선언 등 다각적 대응을 이어왔다.
이번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정부는 광양에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우대 등의 지원책을 적극 추진하고 지역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만기연장·상환유예 등 정책 금융지원도 대폭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산업부는 지역 위기 극복을 위해 필요로 하는 연구개발, 경영 자문, 고용안정 등 지원사업 예산들을 적극 반영키로 했다.
국회에서도 철강업계의 구조적 위기 해소를 위해 세제 및 재정 지원을 통한 사업 재편과 수급 조절 유도 등의 방안을 담은 ‘K스틸법’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고 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위기에 빠진 광양 철강산업이 경쟁력 있는 저탄소·첨단 산업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24 (월) 2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