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현욱 한국필터시험원 본부장 |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대학 연구진은 중국 북부 지역 여성 6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에서 음식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가 폐암 유발 물질이라는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실험의 참가자들은 평균적으로 하루에 3시간씩 일주일에 5일 동안 주방에서 조리를 위해 가스레인지나 인덕션 같은 가열기구를 이용했다. 주로 생선구이, 튀김 등 연기가 많이 발생하는 구이, 튀김류를 만들었다. 이후 실험 대상자들은 흡연자(흡연기준 : 한 달간 매일 10개비 이하)들보다 많은 양의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필수적으로 환기를 통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해야 하며, 관련 시설들은 환기 설비에 대한 점검과 환기량 등에 대한 평가가 진행돼야 한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양상과 더불어 국내에서도 학교 급식실에서 조리 중 발생하는 연기로 인해 학교 급식종사자의 건강상 위험 노출 사례에 대한 경각심을 느끼고 있다. 이에 고용노동부에서는 ‘학교 급식종사자 폐암 검진계획’(2021년 12월)에 따라 학교 급식종사자 중 55세 이상 또는 경력 10년 이상 근무자를 대상으로 검강검진을 실시했으며, 건강검진 실시 결과 검진을 완료한 14개 교육청 검진자(2만4065명) 중 ‘폐암 의심’ 또는 ‘매우 의심’은 139명(0.58%), 추가검사 결과 31명(0.13%)이 폐암 확진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지난 3월 ‘학교급식실 조리환경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학교 급식실 환기설비 및 조리방법과 조리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방안으로서 기존의 ‘학교 급식조리실 환기설비 설치 가이드’의 현장 적용을 위한 전담팀 구축 등이 제시됐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모든 학교 급식조리실은 열악한 상황이다. 환기설비 설계부터 충분하게 검토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설 구축이 된 경우도 있었으며, 환기설비 가동 등에 대한 교육이 이뤄지지 않아 관련 지식과 정보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특히 현재 전국 초·중·고등학교 중 약 60% 이상이 후드 설치 기준치 미달이며, 그 외에도 많은 학교들이 환풍기 용량과 배기 덕트 규격 부적합, 천장 마감재 미설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학교 급식환경 개선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으로는 정확한 환기량 측정및 학교 급식실 환기설비 요건파악 후, 환기설비의 설계 개선이 진행돼야 한다. 그에 따라 명확한 환기량 측정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환기량 측정은 송풍기 유량 측정, 가압·감압을 통한 환기량 측정, 추적가스를 이용한 환기량 측정 등 3가지 방법으로 진행한다. 하지만 송풍기 유량 측정을 통한 환기량 측정은 건물 자체 누설에서 발생하는 누기량은 측정되지가 않아 정확한 환기량 측정이 어렵고, 가압·감압을 통한 환기량 측정의 경우 일반적으로 노후시설인 학교 급식실에 적용할 경우 압력에 의하여 건물 내부에 일부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급식실에서는 추적가스를 통한 환기량 평가가 정확하고 간편한 환기량 측정의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환기량 평가의 경우 신뢰할 수 있는 평가를 위해 관련 교육을 이수하거나 현장 실무 경험이 있는 전문가가 현장 점검을 진행해야 한다. 그리고 시설 이용자들에 대한 충분한 교육자료 지원과 실내 공기와 관련한 안전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한국필터시험원(KFTL)에서는 ASTM E 741 추적가스를 이용한 환기량 측정, ASTM E 779, ISO 9972 송풍기 가압을 이용한 환기량 측정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기술을 갖췄고 기관의 요청에 따라 현장 방문으로 환기설비 점검 사례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앞으로 급식 조리시설 등 시설 종사자 및 이용자들의 안전을 위해 의무적으로 시설의 환기설비 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