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극단 토박이(대표 임해정)의 제41회 창작작품 ‘오월휴먼시리즈-광천동 청년 용준씨’가 15일 오후 7시 30분과 16일 오후 3시 양일간 동구 민들레소극장에서 열린다.
극단 토박이가 오월연극 신작으로 선보이는 ‘광천동 청년 용준씨’는 5·18민중항쟁 당시 투사회보를 필경한 박용준 열사의 이야기다.
1980년 5월 광주. 모든 언론이 불순분자들의 소요사태라고 거짓 보도를 할 때 스물다섯 청년이었던 박용준은 뾰족한 쇠철필로 투사회보에 당시의 참혹한 역사를 또렷이 새겼다. 그는 5월 27일 총을 들고 자신을 진심으로 보듬어 안아준 광천동 형들과 죽음으로 항쟁했다.
극의 줄거리는 이렇다. 1978년 들불야학 단합대회에서 용준과 상원, 영철 등 여러 야학생들은 흥겨운 시간을 보낸다. 고아인 용준은 주변 사람들의 도움으로 신협 교도원으로 취직하고, 영철은 잠잘 곳조차 없는 그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가 기꺼이 가족으로 맞이한다. 그토록 간절히 원했던 가족의 품에서 용준은 행복한 시간을 보내지만, 1980년 비극이 찾아오면서 평온한 일상이 깨진다.
‘광천동 청년 용준씨’는 불운한 운명에 좌절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개척해 앞으로 나아갔던 청년 박용준이 꿈 꾼 세상과 그 꿈을 이끌고 함께한 광천동 사람들의 순결성, 그리고 투사회보가 다음 세대에게 간절히 전하고자 했던 숭고한 인간애를 그린다.
특히 작품은 주인공의 내면을 드러내는 또 다른 ‘나’라는 분신을 통해, 주인공의 내면에 잠재된 상처, 불신, 갈등, 희망 등의 심리를 드러낸다. 스물다섯의 청년이 두려움에 맞서 마지막 순간까지 총을 들고 항쟁할 수 있었던 그날의 원동력을 설득력 있게 표현했다.
또 박용준 열사가 투사회보를 필경하고 제작해 배포하기까지의 과정을 자세히 담아냈다. 특히 투사회보 1호부터 10호의 내용을 인형이나 가면, 미니어처, 깃발 등 상징화된 사물과 음악 등 다양한 오브제를 활용해 구현해냈다.
작·연출은 박정운, 구성은 극단 토박이가 맡았다. 박용준 역에 김영택, 박용준 그림자 역에 고영욱, 김영철 역에 김정훈, 윤상원 역에 박정운, 김영철 아내 역에 임해정, 영심이 역에 박지형 등이 출연한다.
![]() |
극단 토박이의 제41회 창작작품 ‘오월휴먼시리즈-광천동 청년 용준씨’가 15일 오후 7시 30분과 16일 오후 3시 양일간 동구 민들레소극장에서 펼쳐진다. |
한편 극단 토박이는 1983년 11월에 창단, 광주에서 연극 활동을 하고 있는 창작극 중심의 전문공연단체다. 이웃의 삶과 함께 호흡하며 그들의 진정한 웃음과 눈물을 연극예술로 재창조해 인간성의 전진, 사회와 역사의 진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표작으로 오월극 ‘금희의 오월’, ‘모란꽃’, ‘청실홍실’, 가족극 ‘꽃이여 바람이여’, 청소년극 ‘죽기살기’ 등이 있다.
공연 입장료는 무료이며 사전 예약이 필수다. 문의 062-222-6280.
김다경 기자 alsqlsdl94@gwangnam.co.kr 김다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