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장 임시소방시설 설치해야
검색 입력폼
독자투고

공사장 임시소방시설 설치해야

이승환 전남 고흥소방 현장대응단

많은 화재사고 중 공사장에서 화재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공사장에는 위험 물질도 많고, 작업인력이 많아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반복되는 공사장 화재 예방을 위한 몇 가지 수칙을 알아보자.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가장 큰 원인은 용접 불티다.

용접 작업 시 유류, 가스 등 위험물질을 철저히 관리하고, 주변에 가연물을 제거해야 한다.

또 바닥에 충분한 양의 물을 뿌려 불티에 의한 발화원인을 최소화 하는 것이 옳다.

더불어 공사 작업 전 반드시 화재예방에 관련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작업자 중 안전관리감독자를 지정한 후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예방을 통해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지만 수많은 작업 속에서 화재는 어떻게 발생할지 알 수 없다.

그렇기에 공사현장에는 임시소방시설은 필수다.

임시소방시설에는 소화기와 간이소화장치(연면적 3000㎡이상), 비상경보장치(연면적 400㎡이상), 간이피난유도선(지하층 또는 무창층 바닥면적150㎡이상) 등이 있다.

공사장에 임시소방시설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된다.

공사장 임시소방시설은 대형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 수칙이다. 교육과 예방을 통한 화재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한 대비책임을 명심하자.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광주·제주 교육청, 책 읽으며 서로 역사 배운다
- 광주 북구, ‘사랑의 밥차’ 운영 시작
- "尹 대통령 전원 일치 파면 선고는 국민의 명령"
- GGM 노조 "노사민정 중재안 거부·한달 협상 요구"
- [만년필]마약 밀반입 불법체류자 덜미
- ‘尹 대통령 기념품’ 가치 하락 우려에 판매 러시
- 지역 대학들 ‘글로컬大’ 마지막 도전
- 욕설·세탁 심부름…김형수 북구의원 갑질 ‘도마위’
- 尹 탄핵심판 직관…방청 경쟁 ‘역대 최다’
- <오늘의 운세> 4월 4일 금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