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AI 기반’ 고독사 예방 서비스로 12명 구조
검색 입력폼
혁신도시

한전, ‘AI 기반’ 고독사 예방 서비스로 12명 구조

IoT 센서 등 기기 설치비용 약 6900억 절감 효과 기대

한국전력은 첨단 AI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을 융합한 ‘AI 고독사 예방 서비스’를 통해 12명의 소중한 생명을 살렸다고 8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전국 84개 지자체와 협력을 통해 약 1만여 명의 돌봄 대상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안타까운 사고를 예방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한전의 ‘AI 고독사 예방 서비스’는 전력, 통신(SK텔레콤, KT), 수도(수자원공사) 등 인간 생존에 필수적인 생활 데이터를 AI로 정밀하게 분석해 이상 징후를 감지하면 지자체 사회복지공무원에게 SMS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은 별도의 IoT 센서나 CCTV와 같은 추가 장비 설치 없이 기존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대상자의 심리적 거부감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고독사 예방 시스템을 작동시킨다는 것이다.

한전은 연간 3300억건에 달하는 AMI(지능형 검침 인프라) 데이터를 활용해 사회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왔다. 이를 위해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자체 보유한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1인 가구의 생활 패턴을 분석해 고독사 예방 서비스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또한 통신 및 수도 사업자의 참여를 이끌어 내 데이터 융합·분석으로 서비스의 정확도를 높였다.

실제로 울산 남구에서는 전력 및 통신 사용량 급감 이상 신호 감지 후 현장을 방문, 의식불명 상태인 58세 남성을 병원으로 긴급 이송해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또 전북 남원에서는 90세 치매 환자의 생활 반응 데이터 이상 징후를 포착해 현장 출동, 2차선 도로 한가운데를 걷고 있던 환자를 안전하게 구조하기도 했다.

해당 서비스는 사회복지 공무원의 업무 효율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전화 안부 확인 및 방문 업무를 약 86% 감축시켜 업무 부담을 줄였으며, 기존 IoT 센서나 기기 설치 방식 대비 약 6900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까지 창출했다.

1인 가구 증가 추세에 따라 ‘AI 고독사 예방 서비스’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발맞춰 한전은 올해 상반기 중 LG유플러스와의 협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 사회보장정보원, 네이버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서비스 기능을 더욱 고도화할 계획이다.

한전 관계자는 “앞으로도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더욱 촘촘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고, 전력 데이터를 활용한 혁신적인 고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부고] 심진석(아시아경제 부장)씨 조모상
- 유희열, '음악캠프' 스페셜 DJ…표절 논란 3년 만 복귀
- 60주년 남진, 서울서 '효 콘서트'…"어르신 팬들에 감사"
- KIA 김도현·박찬호, 투타 불운에도 활짝…"결국엔 보상받는다"
- '손 없는 날' 토트넘, 프랑크푸르트 꺾고 UEL 4강…보되와 격돌
- 돈 빌려 준다더니…현금 갈취한 20대 구속
- 광주 서구, 가정의 달 맞이 가족사랑 전한다
- 광주 고려인마을, ‘유르트 체험 프로그램’ 인기
- [18일 예보]가끔 구름많음, 19일 밤부터 비 소식
- 제64회 전남체전 성화, 장성 백암산 국기단서 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