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호성 기아 사장이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기아의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목표 등에 설명하고 있다. |
![]() |
송호성 기아 사장이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기아의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목표 등에 설명하고 있다. |
다만 역대 최대 규모의 5개년 투자 계획을 내놓으면서 미래 모빌리티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기아는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이같은 중장기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먼저 기아는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419만대(시장점유율 4.5%)로 설정했다. 지난해 발표했던 430만대보다 11만대 감소한 수준이다.
올해 판매 목표는 322만대, 2027년은 375만대다.
기아는 “2030년 목표 설정은 중국 판매 목표 현실화에 따른 것”이라면서 “올해는 중국 내수 시장의 경우 치열한 경쟁환경을 고려해 8만대로 유지하고 (중국발) 수출은 전년보다 7% 증가한 18만대로 끌어올리는 등 공장 가동률 향상을 통해 수익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역별 목표는 2030년 미국 101만대(시장점유율 6.1%), 유럽 77만4000대(5.0%), 인도 40만대(7.4%), 국내 58만대(36.3%)다.
2030년 친환경차 판매는 전기차 125만9000대를 포함해 233만3000대(56%)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친환경차 판매 목표는 지난해 발표 수준(2030년 248만2000대)보다 약 15만대 감소했고 전기차 판매 목표는 기존 160만대에서 34만대가량 줄었다.
친환경차 판매 확대를 위해 라인업도 강화해 나간다. 올해 말 기준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내연기관 23종, 전기차 9종 등 총 32종에서, 2030년에는 내연기관 17종, 전기차 15종으로 전동화 비중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내연기관의 경우 신흥 시장 대응을 위해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한편, 하이브리드 모델은 셀토스부터 텔루라이드까지 확대해 다양한 수요를 흡수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기아는 EV3, EV4, EV5를 시작으로 2026년 출시 예정인 EV2까지 대중화 EV 모델을 활용해 캐즘을 극복하고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선도하는 브랜드로의 입지를 확고히 할 방침이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 출시하는 PV5를 시작으로 PBV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새로운 차급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해갈 계획이다.
기아는 2029년까지 5년간 총 42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종전 5개년 계획(2024∼2028년 38조원)보다 4조원 증가한 수준으로, 기아가 역대 발표한 5개년 계획 가운데 최대 규모다.
정현아 기자 aura@gwangnam.co.kr
정현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