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idden’ |
안개로 둘러싸인 푸른 숲의 이미지를 통해,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간극을 탐구해온 김 작가는 나무와 안개를 주의깊게 관찰했다. 나무들은 청록색을 넘어 청색으로 물들고 그 위를 덮은 안개는 경계를 흐리게 하는 기법을 선호한다. 사실적으로 묘사된 듯 보였던 숲은 어느새 이상향을 그린 관념산수화처럼, 우리가 발 딛고 있는 현실 너머에 존재하는 풍경으로 다가온다. 작가의 초현실적 풍경은 캔버스 위에 유화물감으로 그려졌지만, 유화의 질감을 강조하기보다는 종이에 스며드는 수묵화처럼 표현, 완성된다. 이로써 작품의 분위기를 결정짓는 안개가 더욱 몽환적으로 피어오르고, 푸른 숲은 채색되지 않은 백색 화면 너머로 이어진다.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던 안개는, 삶을 압박하는 권력이나 사회적 불안의 상징으로 변모해 우리 곁으로 다가온다.
특히 작가의 작품은 아름답고 평화로워 보이는 김용안 작가의 숲이 단순히 일상을 벗어난 이상 세계가 아니라, 일상의 위협이 도사리는 세계에 대한 은유를 투영, 주목된다.
작가는 “작품에 나타나는 안개의 양가성(兩價性)은 아름답고 신비롭지만 무섭고 두려운 권력의 상징이자, 현실의 삶을 한 화면 안에서 동시에 느낄 수 있게 하는 장치”라며 작품의 형태를 규정하는 안개가 상징하는 상반된 의미에 대해 말한 바 있다.
![]() |
‘길들여진 정원’ |
![]() |
‘감춰진 지속’ |
이번 전시는 평화롭고 아름다운 이미지 안에 사회적 불안을 담은 ‘간극의 공간Ⅱ’ 전시가 현실과 이상, 그리고 보이지 않는 힘에 대한 작가의 탐구를 함께 사유하는 장이 되고, 동시대 풍경화에 새로운 감각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한편 광주신세계미술제는 광주·전남의 작가를 발굴·지원하여 미술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1996년부터 이어져 온 공모전이다. 수상 작가에게는 개인전 기회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후원해 왔다.
고선주 기자 rainidea@gwangnam.co.kr
고선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