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범기업 구제" 시민단체, 국내 기업 기부 모금 비판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전범기업 구제" 시민단체, 국내 기업 기부 모금 비판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7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소송동 일제강제동원피해자재단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국내 기업을 통해 200억원 규모의 기부금을 모금하고 있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전범기업의 배상이 아닌 국내 기업을 통해 200억원 규모의 기부금을 모금하고 있는 것에 대해 “피해자 지원이 아닌 전범기업 구제다”고 비판했다.

시민단체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7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수송동 일제강제동원피해자재단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재단이 전범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국내 기업에 팔을 비틀고 있다”며 “일제 피해자를 위한 재단이 아니라 일본 피고 기업을 위한 재단이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소송에서 패소한 일본 피고 기업의 뒷감당을 위해 애먼 한국 기업을 동원하는 것은 참으로 개탄스러운 일이다”며 “윤석열 정부의 제3자 변제안은 대법원 판결을 무력화하고, 전범기업에 면죄부를 주는 반헌법적·반민족적 조치다”고 주장했다.

이어 “윤 정부는 한일관계 개선이라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일본의 역사 왜곡과 독도 영유권 주장, 사죄 없는 태도는 전혀 달라진 것이 없다”며 “결국 이는 피해자 인권을 짓밟고, 역사정의를 훼손하는 저자세 굴욕외교일 뿐이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대한상공회의소와 한국경제인협회를 향해 “이 기부가 피해자의 인권과 역사정의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분명히 밝힐 것을 촉구했다.

또 “정의로운 일이라면 왜 다른 기업과 시민들이 외면하겠는가. 우리 기업들이 전범기업의 뒤처리를 대신하는 일이 과연 타당한가”라고 되물었다.

이들은 “사법주권을 포기한 제3자 변제를 즉각 중단하고, 피해자 중심의 진정한 배상과 사죄가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와 재단의 행보를 규탄했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지난 4월 3일과 4일 각각 15억 원씩 총 30억원을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양홍민 기자 yhb9792@gwangnam.co.kr         양홍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네거티브 방식 규제 완화 대선공약에 반영"
- GICON, 옛 광주적십자병원서 5·18 전시회
- 광주신세계, 지역인재 희망 장학금 전달
- 전남도, 여름철 물놀이형 수경시설 안전 강화
- 청년 자립 지원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하세요
- 전남도, 지자체 합동평가 정량지표 연달아 전국 1위
- 문금주, ‘골목골목 어르신 경청투어’ 열어
- 중흥그룹, 순천 ‘선월하이파크단지’ 2차 용지 공급
- 광주도시공사, 따뜻한 나눔 ‘사랑의 한끼’ 대접
- 나주시, 전입시민 생활안내서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