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헌법 제1조2항). 지난해 ‘12·3 비상계엄’ 선포로 온 나라가 충격에 빠졌지만 국민들의 단호하고 성숙한 행동으로 계엄사태를 막아내고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했다. 한국민주주의를 실천한 국민의 승리였다. 그 결과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선거 치러진다. 국민의 선택을 받은 새로운 대통령은 오로지 국민만을 바라보며, 통합의 대한민국 건설에 적극 나서야 한다. 국민들의 적극적인 투표가 미래 우리 삶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사진은 22일 오후 광주시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이 상무시민공원에서 6·3 대통령선거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최기남 기자 |
광남일보가 창사 30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에 의뢰해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광주시와 전남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66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재명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78.4%,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10.1%,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6.8%로 조사됐다. 앞서고 있는 이재명 후보와 추격하는 김문수 후보 간의 격차는 68.3%p였다.
광주지역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79.3%, 김문수 후보 9.2%, 이준석 후보 7.5%, 기타 후보 1.4%, 지지후보 없음 2.4%, 잘 모름 0.3%로 조사됐고, 전남은 이재명 77.7%, 김문수 10.9%, 이준석 6.3%, 기타 1.4%, 지지후보 없음 2.5%, 잘 모름 1.3% 등이었다.
세대별로는 이재명 후보가 광주·전남에 거주하는 40대와 60대로부터 85.8%씩 얻었고, 50대(85.3%)와 70세 이상(81.2%)에서도 80%가 넘는 지지를 받았다. 김문수 후보는 30대(14.1%)에서, 이준석 후보는 18세 이상 20대(21.4%)에서 가장 높았다.
또 이재명 후보는 남성(75.4%)보다 여성(81.3%)으로부터 많은 지지를, 김문수 후보는 여성(8.6%)보다 남성(11.7%)으로부터 더 많은 지지를 얻었다. 이준석 후보도 여성(4.4%)보다 남성(9.3%)이 높았다.
이번 대선 ‘투표 의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95%가 투표할 가능성을 보였고, 이 중 66.3%는 ‘반드시 하겠다’고 응답했다.
반면 ‘그때 가서 결정하거나 투표하지 않겠다’고 답한 지역민은 5%에 그쳐 비교적 낮은 비율을 보였다.
또 ‘후보를 계속 지지할 것인지, 아니면 바꿀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계속 지지’가 88.6%로 높게 나왔고, ‘지지후보를 바꿀 수도 있다’는 응답은 10.2%였다. 광주지역의 경우 응답자의 88.7%가, 전남지역은 응답자의 88.5%가 ‘향후에도 해당 후보를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대선 후보 지지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줄 요인으로는 ‘후보자의 공약’이 55.8%로 가장 높았고, 이어 ‘TV 토론 결과’가 16.2%였다. ‘후보 간의 단일화’는 7.3%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광주지역에서 후보 공약을 가장 중시하는 비율이 60.3%인 반면, 전남지역은 이보다 낮은 52.4%로 조사됐다.
광주·전남의 지역 현안 중에서는 ‘청년일자리 창출’과 ‘국립의과대학 신설’ 등이 대선 공약에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광주와 전남을 묶어서는 ‘청년일자리 창출’이 24.7%로 가장 높았고, ‘전남 국립의과대학 신설’ 요구가 22.8%로 뒤를 이었다.
또 인공지능(AI) 도시 조성(13.2%), 지역소멸 막는 출산율 대책(13.1%) 등의 요구도 있었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에서는 ‘청년일자리 창출’이 31%로 가장 높은 반면 전남도에서는 ‘국립의과대학 신설’이 33.9%로 가장 높았다.
지역 문제와 관련, 광주·전남에서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중요 과제로는 ‘지역 불균형’을 지목했다. 청년 일자리 창출과 의료 서비스 개선도 주요 과제로 떠올랐고, 생활 밀착형 정책에 대한 요구도 강하게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35.1%가 ‘지역 불균형 해소’를 가장 중요한 지역 현안으로 응답했고, 이어 청년 일자리 부족(26.2%), 의료 서비스 부족(12.2%), 농·어업 종사자 지원(7.4%), 교육 인프라 부족(4.6%), 교통 문제(3.8%)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광주에서는 43.0%가 ‘지역 불균형’을 꼽은 반면, 전남에서는 의료 서비스 부족(17.5%)과 농·어업 지원 부족(12.1%)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도농간 관심 의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광주와 전남 주민들이 단순한 경기 부양이나 단기 대책보다는 생활 밀착형 정책과 장기적인 구조 개선을 원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특히 광주와 전남 간의 시·도 간 현안 차이를 고려할 때, 지역 맞춤형 공약 수립과 실질적인 이행 방안이 선거 전략에서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당 지지도는 광주·전남에서 더불어민주당이 72.2%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이어 국민의힘 10.1%, 조국혁신당 5.6%, 개혁신당 4.6%, 기타 정당 2.3%, 지지정당 없음 4.9%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는 더불어민주당이 71.9%, 국민의힘 10.0%, 조국혁신당 6.8%, 개혁신당 4.8%, 기타 정당 2.1% 등의 순이었고, 전남은 더불어민주당 72.3%, 국민의힘 10.1%, 조국혁신당 4.7%, 개혁신당 4.4%, 기타 정당 2.5% 등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의 68.0%, 여성의 76.3%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또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70세 이상이 80.1%로 가장 높았으며, 40대와 50대 78.8%, 60대 77.2%, 30대 58.6%, 18세 이상 20대 50.9% 순이었다.
최근 전남지역 재선거 등에서 민주당의 호남 독주에 맞서 첫 번째 기초단체장 배출에 성공한 조국혁신당은 이번 대선에 후보를 내지 않으면서 지지율이 한자릿수에 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광남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에 의뢰해 광주시와 전남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66명(가중 1066명)을 대상으로 지난 19일과 20일 무선 가상번호 100%로 실시됐다.
2025년 4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했으며(셀가중),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 응답률은 9.9%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