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AI 모빌리티 시범도시’ 조성, 첫 관문 통과
검색 입력폼
자치

광주 ‘AI 모빌리티 시범도시’ 조성, 첫 관문 통과

정부 추경에 연구용역비 10억 반영…국회 심사 앞둬
예결위 통과 가능성 커…"인공지능 도시 완성 가능"

광주시가 역점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사업이 첫 관문을 통과했다.

2일 광주시에 따르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가 ‘AI 모빌리티 국가시범 도시’ 조성 연구용역비 10억원을 정부 제2회 추경안에 반영해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로 보냈다.

국토교통위는 시범도시 지역을 ‘광주광역시’로 지정했고, ‘미래 모빌리티 인프라 구축, 실증·AI기반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등에 필요한 예산’이라고 명시했다.

국회 예산결산위원회가 10억원을 반영한 뒤 본회의를 통과하면 광주시는 AI기반 모빌리티 시범도시 사업의 첫 걸음임인 용역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이 사업은 자동차산업의 미래 차 전환과 AI 기술 융합을 통해 기업 실증·테스트베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메가 샌드박스 시범 신도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광주 AI집적단지에는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을 시험할 수 있는 ‘대형 운행(드라이빙) 모의실험장치(시뮬레이터)’가 설치돼 자동차 제조회사들과 협업을 통해 기술을 완성하고 있다.

광주시는 AI모빌리티 시범도시 사업을 통해 실증한 뒤 미래차국가산단 인근에 대규모 ‘AI 도시’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동안 빛그린 국가산단과 미래 차 국가산단에 규제 프리존 메가 샌드박스를 조성할 것을 건의해 온 광주시는 이번 용역 예산 확보 가능성에 큰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아직 국회 예결위 심사 등이 남아있지만 무난하게 통과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정부 예산이 반영되면 광주가 AI 모빌리티 중심의 미래 도시 밑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고, 실증을 통해 인공지능 도시를 완성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주시는 대선 전부터 이 사업을 대선 공약에 반영하는 데 주력해 왔으며, 새 정부 출범 후에도 국정과제 포함에 힘써 왔다.

국회 국토위에서는 정준호 국회의원(광주 북구갑)이 힘을 보태고 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목포시, 외달도 해수풀장·해수욕장 환경정화
- 전남도, 불법 양식장·무허가 어업 정비·단속 나선다
- 전남도, 가축 폭염피해 예방에 예비비 20억 긴급 투입
- 전남 이모빌리티,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
- BTS도 홀린 '케이팝 데몬 헌터스'…음원 돌풍에 아이돌도 챌린지
- 고흥군, 계약심사로 예산 16억 절감
- 장성 복지기동대, '해충없이 깨끗한가' 특화사업 호응
- 곡성심청상품권, 1인 200만원 구매 가능
- 장성군, 세탁물 수거·배달 한번에
- 함평군, 연간 10만달러 수출 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