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 ‘여수형 기본소득 모델’ 구축
검색 입력폼
여수

여수시, ‘여수형 기본소득 모델’ 구축

연구용역 진행…정책 실현 가능성·전략 등 모색

여수시는 최근 시청 회의실에서 ‘여수형 기본소득(사회) 모델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여수시는 최근 시청 회의실에서 ‘여수형 기본소득(사회) 모델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인구 감소 등 지방이 당면한 위기 속에서 지자체가 주도하는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방향과 재원 조달 방안 등을 마련하는 연구다.

보고회에는 정기명 시장을 비롯해 시도 의원들과 지역구 국회의원 관계자, 여수시 정책기획자문위원회, 관계 공무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간보고와 질의응답 및 제안, 의견수렴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용역을 수행한 연구기관은 중간보고에서 기후&에너지 연계형 통합기후배당, 청년기본소득 ‘섬섬 청년소득(가칭)’, 도서지역 수요응답형(DRT) 교통 체계 구축, 모바일 기반 노인 통합 돌봄 시스템 마련, 여수국가산단 폐열 활용 지역난방, 시민 금융주치의 제도 도입 등 8개 기본사회 모델을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정책의 실현 가능성과 실행 전략을 두고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지속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 등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시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여수형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전문가 검토와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향후 중앙정부의 제도 개선 및 국비 지원을 이끌어낼 구체적인 건의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정기명 시장은 “기본사회 실현은 지방도시에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라며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모델을 마련해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여수=송원근 기자 swg3318@gwangnam.co.kr         여수=송원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기아 광주공장 첫 전용전기차 ‘EV5’ 디자인 공개
- 전국 지역주택조합 분쟁 겪어…광주 37% 갈등
- ‘파산’ 위니아전자매뉴팩처링 공장, 코비코㈜에 팔렸다
- 광주시민사회, 금호타이어 정상화 대책마련 촉구
- 국회의원들 ‘광주다움 통합돌봄’ 선진모델 학습
- ‘광주 군공항 6자협의체’ 가동 준비 돌입
- 광주관광공사, 휴가철 도심관광객 유치 나서
- 광주 자원봉사 기업협의체 걷기기부챌린지 950% 달성
- 신한라이프, 광주시에 아동급식비 5000만원 전달
- "곡성을 미래 농산업, 치유·레저 핵심 거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