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남도는 22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2026년도 국고 현안사업 국회심의 대응 보고회’를 열고, 실국별로 예산 반영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며 증액이 필요한 주요 사업의 대응 논리를 보완했다. 회의는 강위원 경제부지사가 주재했으며, 신규·계속사업 등 130여 건의 서면 질의서를 중심으로 대응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첨단 전략산업과 재생에너지, 교통 인프라, 농림·해양, 환경·산림 등 전남의 미래 성장동력을 뒷받침할 사업들이 집중 검토됐다.
첨단·에너지 분야에서는 △민간전용 우주발사체 엔진연소시험시설 구축 설계비 20억 원(총사업비 485억 원) △지역산업 위기 대응(R&D) 60억 원(총사업비 420억 원) △한국형 해상풍력 모델(K-WIND) 실증사업 22억 원(총사업비 480억 원) △초전도 도체 시험설비 구축 80억 원(총사업비 495억 원) 등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다.
교통·SOC 분야에서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499억 원(총사업비 3조 274억 원) △경전선 전철화(광주송정~순천) 1180억 원(총사업비 2조 1520억 원) △강진~완도 고속도로(2단계) 118억 원(총사업비 1조 5965억 원) △고흥~봉래 국도 15호선 4차로 확장 130억 원(총사업비 6521억 원) 등 대규모 국책사업 증액 방안이 논의됐다. 도는 이들 사업을 중심으로 국회 심의 과정에서 약 3000억 원 규모의 증액을 목표로 하고 있다.
농림·해양 분야에서는 △국립 김산업진흥원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비 10억 원 △AI 첨단 축산업 융복합 밸리 타당성 조사비 5억 원 △K-Tea 보성 말차 가공시설 현대화 15억 원 △해양환경정화선 건조비 19억 원 △목포항 종합발전계획 수립비 5억 원 등이 포함됐다.
환경·산림 분야는 △국립난대수목원 조성 29억 원 △산불진화 헬기 임차비 78억 원 △국립 다도해 산림치유원 조성 용역비 3억 원 등으로, 탄소중립·기후대응과 연계된 중장기 사업들이 논의의 중심에 섰다.
강위원 부지사는 “국회 증액 반영을 위해서는 중앙부처와의 공조는 물론, 타 시·도와의 연대, 설득력 있는 논리 마련이 필수”라며 “국회 심의 종료까지 중간·사후 점검회의를 이어가며 상황을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올해 정부예산안에 첨단 R&D, 재생에너지, 문화·관광 융복합 산업 등 주요 현안사업을 대거 반영해 9조 4000억 원 규모의 국비를 확보한 바 있다. 도는 김영록 지사를 중심으로 실국장이 직접 국회를 방문해 정부 예산안에 반영되지 못한 현안사업의 증액 및 신규사업 추가 반영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