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환경복지위원회는 교통약자 전용 이동수단 이용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광주시에서 거주하는 새빛콜 이용자 35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이용 빈도는 ‘월 1~2회’가 38.1%로 가장 많았으며, 주 1회 이상 이용하는 시민이 58.6%로 나타나 새빛콜 서비스 이용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 목적으로는 ‘병원 방문’이 56.8%로 가장 많았으며, ‘문화여가 활동(21.7%), 장보기 등 생활 편의(14.8%), 출퇴근 및 등하교(6.5%) 등이 뒤를 이었다.
현행 배차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는 60.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불만족’ 응답도 39.8%에 달해 배차 지연 문제 등 일부 불편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배차 방식에 대해서는 상담원 배차를 100% 이용한다는 응답이 57.7%로 가장 많았고, 자동배차를 100% 이용한다는 응답은 22.9%로 나타나 AI 자동배차시스템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차량 도착 소요시간은 ‘30분 이상~1시간 미만’이 58.6%로 가장 많았으며, 1시간 이상 소요된다고 응답한 비율도 41.4%에 달해 실질적인 대기시간 단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약자 전용 이동수단 서비스 전반의 만족도는 ‘만족’ 82.9%, ‘불만족’ 17.1%로 나타났다. 이는 차량 배차시간에 대한 불만 요인을 제외하면, 운전기사의 친절도(92.5%)와 차량 청결도(96.7%) 등 서비스 품질 요인이 전반적인 만족도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지현 환경복지위원장은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교통약자들의 실질적인 이용 불편을 보여주는 구체적 지표”라며 “광주시는 자동배차시스템의 기술적 개선과 함께 상담원 역량 강화, 실시간 대응체계 구축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품질 향상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환복위 소속 서용규 의원은 지난 7월 시정질문에서 새빛콜 AI기반 자동배차시스템 운영의 허실을 지적하고 집행부, 전문가와 함께하는 ‘교통약자 정책개선 TF팀’ 운영을 이끌어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0.30 (목) 2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