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초등 돌봄교실에 탈락한 부모들은 이를 학원으로 대체하는 등 사교육비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어 저출산 시대에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보육환경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5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지역 내 국·공립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초등돌봄교실은 총 311개(오후돌봄교실 300개·방과후학교연계형돌봄교실 11개)다.
초등돌봄교실은 학교 내에 마련된 별도의 공간에서 각 시·도교육청 또는 학교에서 채용한 돌봄 전담사가 정규수업 외에 아이들을 돌봐주는 제도를 말한다.
사회적 취약계층인 기초생활수급대상자, 한부모 가정 등과 함께 저소득층 및 맞벌이 가정의 자녀에게 보육과 교육서비스를 제공, 원활한 양육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도입됐다.
돌봄교실에서는 가정과 비슷한 환경에서 편하고 안전하게 보낼 수 있음과 동시에, 맞춤형 지도 및 특기적성 시간 운영 등으로 학생들의 소질과 재능 계발을 지원하고 있다.
문제는 맞벌이 가구 증가 등으로 보육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돌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매년 수백 명의 돌봄교실 대기자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분석한 ‘2022~2023년 광주시교육청 초등돌봄교실 수용 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광주의 초등돌봄교실 신청 학생 수는 지난해 6674명에서 올해 6788명으로 114명이 늘었지만, 수용 학생 수는 지난해(6159명)와 올해(6152명) 비슷한 수준이다.
전체적인 돌봄교실 수용률로 따지면 지난해(90.9%)보다 올해(90.6%) 소폭 하락했다.
광주지역의 경우 초등돌봄교실의 신청자가 증가하고 지난해 기준 학부모 만족도(97.3%)도 타 시·도에 비해 높지만, 여전히 매년 460여 명의 학생이 대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올해 10개교는 낮은 수용률(50~60%)을 보이는 데다, 정원의 한계로 1학년에 비해 2학년은 돌봄교실에 당첨될 확률이 떨어져 보완책이 필요하다.
학부모 김모씨(39·여)는 “1학년 때는 돌봄교실에 보냈었는데 2학년으로 올라가면서 탈락하게 돼 학원으로 공백을 대체하고 있다”며 “맞벌이 가족이라 아이를 정상적으로 돌볼 수 있는 시간도 부족하고 비싼 사교육비도 부담이다. 많은 아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정원을 확대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모씨(35·여)도 “돌봄교실은 한정돼있고 한 반에 수도 정해져 있다 보니 어린 순서대로 뽑는 것 같다. 특히 2학년은 생일이 늦으면 이용이 거의 불가능하다”며 “1년 단위로 적용되다 보니 중간 방학기간에 이용하기도 어렵다. 신청이 가능하더라도 동생들뿐이라고 안 가고 싶어하는 경우도 있어 보완이 필요한 것 같다”고 전했다.
정부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보육과 교육을 통합하는 ‘유보통합’을 추진함과 동시에 ‘늘봄학교’ 전면 확대로 초등학생 양육부담 경감에 나서고 있다.
일·육아 병행에 대한 어려움과 함께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주요 저출산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 만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도심 지역의 경우 과밀학급으로 인해 일반교실도 부족한 상황이다”면서도 “초등돌봄교실 대기 수요 제로화를 위해 교직원 합의하에 추가교실을 확보하는 등 다방면으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돌봄교실에 탈락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과후 프로그램을 진행함과 동시에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 등을 이용해 지역 돌봄 자원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있다”며 “사교육 부담을 덜고 돌봄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송하종 기자 hajong2@gwangnam.co.kr
송하종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