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군, 명품 천년 비자숲 조성
검색 입력폼
장성

장성군, 명품 천년 비자숲 조성

사업비 8억 투입…목백합·편백 등 20만본 식재

장성 축령산 편백숲
장성군이 명품 천년 비자숲을 만들기 위해 조림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일 장성군에 따르면 올해 8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해 110㏊ 면적에 편백나무, 목백합, 상수리나무 등 20여만본을 심는다.

특히 비자나무숲 조성이 이목을 끈다.

군은 축령산 인근에 비자나무숲을 조성해 편백숲에 이은 또 하나의 ‘명품 천년 비자숲’을 탄생시킬 계획이다.

장성 축령산은 국대 최대규모 인공조림지인 편백숲으로 유명하다. 춘원 임종국 선생(1913~1987)이 21년간 나무를 심어 가꿨다. 현재 산림청이 숲의 가치를 인정해 ‘22세기를 위해 보존해야 할 아름다운 숲’으로 지정했다. 군은 축령산 편백숲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비자나무숲 조성에 도전한다.

군과 비자나무는 인연이 깊다. 1962년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숲(북하면 약수리 산115-1)이 천연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된 바 있다. 고려시대 때 각진국사가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

8~15m 자라지만 ‘살아서 천년, 죽어서도 천년’이라 불릴 정도로 생장 속도가 느린 편이다. 목재의 질이 우수해 과거에는 최고급 바둑판이나 배를 제작하는 데 요긴하게 쓰였다. 독특한 모양의 이파리와 아름다운 나무 형태를 지녀 조경수로도 가치가 높다.

군은 비자나무가 지역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수종인 만큼, 축령산 하늘숲길 주변 5㏊ 시범 식재를 시작으로 점차 숲의 규모 늘려나갈 계획이다.

지난 2월부터는 고향사랑기부제 지정기부사업의 일환으로 ‘고향사랑 숲길 조성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향우들과 장성의 성장을 응원하는 사람들이 비자숲 조성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김한종 군수는 “천년 비자숲 조성을 필두로 조림사업을 확대 추진해 산림의 공익적·경제적 가치를 높여 가겠다”며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장성=이항범 기자 lhb6699@gwangnam.co.kr         장성=이항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중기부, 글로벌비즈니스센터 입주기업 모집
- 급성중독·질식재해 사망하고 제로화 ‘온 힘’
- 광주신세계 ‘꼬막 비빔밥·무침’ 팝업스토어
- aT, 2년 연속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대상’
- 광주상의, 경영정보시각화능력 시험 시행
- 북광주농협, 조합원 자녀 장학금 전달
- KCA, 국민신문고 민원처리 실태점검 ‘최우수기관’
- 백기태호 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정상 탈환 도전
- 장흥군, 상반기 사료구매자금 96억 지원
- 무안군, 군민안전보험 27종 확대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