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인용이 발표된 4일 오전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생방송으로 탄핵심판 선고를 지켜본 시민들이 기뻐하고 있다. 최기남 기자 bluesky@gwangnam.co.kr |
이들은 이제 갈등 조장과 선동을 멈추고 불안정한 정국과 혼란의 굴레에서 벗어나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자고 염원했다.
‘윤석열정권즉각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은 탄핵심판 선고 당일인 4일 성명을 통해 “우리가 이겼다. 민주주의가 승리했다”고 밝혔다.
광주비상행동은 지난해 ‘12·3비상계엄’부터 5·18민주광장을 지키며 광주·전남 지역민들과 윤 대통령 탄핵을 촉구해 왔다.
이들은 “두려움, 국민을 배신한 공권력에 대한 허무함과 불안, 불면의 밤을 이겨내고 쟁취한 승리다”며 “우리의 승리는 3·1 만세운동의 함성과 4·19, 부마, 5·18, 87년 6월, 박근혜 탄핵 촛불의 역사와 연결돼 있다. 오늘의 승리는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의 물결이 만들어낸 파도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란수괴 윤석열과 동조자들에 대한 강력한 처벌도 촉구했다.
이들은 “우리의 승리는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헌법과 민주주의를 유린한 야만의 정권이 회귀하지 않고, 불법 내란이 불가능한 나라를 위해 내란 관련자들에 대한 철저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오월단체도 성명을 발표하며 “헌법을 짓밟고 역사를 거스른 반역자, 마침내 국민의 이름으로 파면됐다”고 밝혔다.
단체는 “윤석열 정권은 헌법 위에 군림했고, 국가 권력을 사유화했으며, 공포와 조작으로 민주주의를 유린하고 도발해왔다”며 “검찰 독재, 언론 탄압, 반민주적 국정 운영은 5·18 정신을 조롱하고 민주공화국의 근간을 무너뜨렸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헌법이 살아 있음을 목격했고, 국민이 주권자임을 다시금 확인했다”며 “우리는 전두환 정권과 맞섰던 그날처럼, 다시금 권력의 폭주를 멈춰 세웠다. 이는 5·18의 승리이자, 민주주의의 승리이며, 국민의 승리다”고 강조했다.
법조계도 환영의 입장을 냈다.
광주지방변호사회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유린한 내란세력에 대한 민주시민의 준엄한 심판이자 승리이다”면서 “광주변호사회는 앞으로도 헌법정신을 바탕으로 사회정의 실현, 인권옹호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농민·노동계도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에 환호의 목소리를 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전남연맹은 “윤석열이 파면됐다. 연대와 협력으로 거대 악과 악다구니를 물리쳤다”며 “국민의 성숙한 민주 의식과 다르게 대한민국 헌법은 여전히 40년 전의 낡은 모습으로 잔존해 있다는 것이다. 민주공화제와 헌정질서를 지키고자 했던 힘을 보존해 ‘빛의 혁명’의 성과를 헌법 개정으로 완성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민주노총광주본부는 “앞서서 싸우니 산 자여 따르라,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렸다는 5월 정신의 승리이자 혹독한 겨울을 은박담요로 버티며 끈질기게 싸워온 국민의 승리다”고 전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 탄핵을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는 시작점으로 삼아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민주주의를 전진시키고 우리 삶을 바꾸기 위해서는 낡은 87년 헌법을 바꿔야 한다”며 “새로운 사회를 위한 헌법 개정은 광장의 목소리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단체도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파면 선고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이번 탄핵은 정부의 위법과 무능, 독단으로 무너진 나라를 다시 세우기 위한 첫걸음이다”며 “분열과 갈등을 넘어, 정의와 상식, 안전과 평등이 살아 숨 쉬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윤 대통령의 탄핵을 넘어, 낡은 에너지 정책을 포함한 그의 모든 잔재를 청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