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천터미널 복합화 민간투자·행정 협력 절실"
검색 입력폼
경제일반

"광천터미널 복합화 민간투자·행정 협력 절실"

광주상의 입장문…지역 중심축 회복 전환점 강조

광주상공회의소 전경
광주 유스퀘어 일원에 추진 중인 ‘광천터미널 복합화 사업’과 관련해 지역 경제계가 “민간 투자와 행정의 협력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광주상공회의소는 16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광천터미널 복합화사업이 단순한 터미널 재정비를 넘어 지역의 도시 브랜드를 제고하고, 소비·문화·관광의 중심축을 회복할 수 있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총 4조4000억원 규모의 민간 투자가 이뤄지는 이번 사업은 신세계그룹이 단일 프로젝트로 추진하는 개발 중 역대 최대 규모로 알려졌다. 과거 약 2조원이 투입된 부산 센텀시티 사례와 비교해도 광주에 대한 신세계의 장기적 투자 의지를 보여주는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하화된 터미널 위로 47층 규모의 복합 상업시설과 특급호텔, 업무·문화·주거 기능이 결합된 공간이 조성되며 터미널과 부지 내 모든 시설이 지하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지상과 지하를 넘나드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구현될 예정이다.

광주상의는 이번 사업이 광주에 있어 ‘두 번째 기회’임을 강조했다.

지난 2015년 신세계가 광천동 일대에 복합개발을 제안했지만, 행정 절차와 협의 부족으로 무산돼 결국 대전으로 이전, ‘신세계 Art & Science’라는 프로젝트로 실현된 바 있다.

현재 광주신세계는 지난해 10월 광주시로부터 사전협상대상지로 선정된 이후 협의에 임하고 있으며, 광주시도 공공성 확보와 행정 검토를 진행 중에 있다. 다만 현재까지 본협상이 본격화되지 않으면서 경제계에서는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광주가 기업 친화적인 도시로 인식될 수 있도록 일정한 속도감이 필요하다고 피력하고 있다.

광주상의는 “광주는 청년 유출, 소비 침체, 투자 위축 등 복합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대규모 민간 투자 유치는 도시 활력 회복과 일자리 창출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 광주시와 관계기관이 협의 절차에 신속히 착수해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것”을 촉구했다.

이어 “광주가 지속 가능한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과감한 투자와 공공의 유기적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역경제계는 지역사회와 함께 해당 사업의 성공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송대웅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타선 침묵’ KIA, kt에 0-3 패
- "장성에서 추억 만들어요"
- 사구하는 김한종 장성군수
- 이순재, 거동 불편해 시상식 불참…"두 달 뒤 공식 활동"
- 유럽·아시아·북중미, '64개국 FIFA 월드컵' 제안 일제히 반대
- [기고] 지방소멸 위기, 해답은 교육에 있다
- 인공지능으로 경제성장 해법 찾는다
- 강기정 광주시장, 여의도서 대선공약 세일즈
-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유력…17일 발표할 듯
- "계엄군에 쫓긴 망자 신발 우리가 신겨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