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대웅 경제부 차장 |
‘기대’라는 감정이 체감경기를 끌어올린 것이다. 물론 실제 소비가 폭발적으로 늘었다거나, 매출이 눈에 띄게 상승한 것은 아니다.
현장에서는 여전히 “경기 회복은 체감되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다만 수치의 반등은 현장의 ‘심리’가 움직이고 있다는 방증이다. 정체돼 있던 유통업계에 오랜만에 희망이 움트고 있다.
실제 조사에 응한 소매유통업체 가운데 70.2%는 새 정부 출범이 업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규제 완화 가능성, 경기 부양책 등 정책 방향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결과다. 특히 편의점(106), 슈퍼마켓(118)은 다음 분기를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반면 대형마트는 소비 위축 영향 등으로 여전히 기준치를 밑돌았다.
이번 자료에서 눈여겨볼 대목은 계절 효과와 정치적 기대감이 섞인 ‘일시적 반등’일 수 있다는 점이다.
기업들이 지목한 가장 큰 위험 요소는 ‘소비심리 회복 지연’이었다. 비용 부담, 경쟁 심화 등 구조적 한계가 여전하다.
정부는 지금의 기대를 정책 실현으로 연결시켜야 한다. 유통업계가 가장 바라는 것은 ‘대·중·소 상생 협력’이다. 다음은 ‘중소유통 경쟁력 강화’다. 대형 유통 자본과의 격차, 플랫폼 시장으로 빨려 들어가는 소비구조 속에서 중소 유통은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
이제 새로운 시작이다. 단순히 숫자의 회복이 아닌 ‘현장의 회복’에 주력해야 한다.
기대로 출발한 반등이 지속 가능한 회복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더욱 절실하다. 중소 유통의 수익 구조를 개선하고,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며, 실효성 있는 상생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
지역을 넘어 전국 유통업계는 지금, 정부를 바라보고 있다.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기 전, 정책은 더 빠르고 정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