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연합) |
이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80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대한민국은 ‘END 이니셔티브’로 한반도 냉전을 끝내고 세계 평화에 기여하기 위한 책임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선 첫 단계인 ‘교류’에 대해서는 “교류와 협력이 평화의 지름길이라는 것은 굴곡진 남북 관계의 역사가 증명한 불변의 교훈”이라며 “교류 협력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지속가능한 평화의 길을 열겠다”고 설명했다.
‘관계 정상화’는 “남북의 관계 발전을 추가하면서 북미 사이를 비롯한 (북한과) 국제사회의 관계 정상화 노력도 지지하고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 ‘비핵화’와 관련해서는 “엄중한 과제임이 틀림없지만,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어렵다는 냉철한 인식의 기초 위에 현실적으로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며 “핵과 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대한 ‘중단’부터 시작해 ‘축소’의 과정을 거쳐 ‘폐기’에 도달하는 실용적·단계적 해법에 국제사회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상대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떤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도 할 뜻이 없음을 다시 분명히 밝힌다”며 “이 세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우선 남북 간 불필요한 군사적 긴장과 적대 행위의 악순환을 끊어내고자 한다”고 천명했다.
이 대통령은 한편으로 이날 연설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를 국민의 힘으로 극복한 ‘빛의 혁명’을 설명하며 “새로운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 완전히 복귀했음을 당당히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겨울, 내란의 어둠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은 ‘빛의 혁명’을 이뤄냈다”며 “친위쿠데타로도 민주주의와 평화를 염원하는 대한국민의 강렬한 의지를 꺾을 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는 유엔 정신의 빛나는 성취를 보여준 역사적 현장이기도 했다. 대한민국이 보여준 놀라운 회복력과 민주주의의 저력은 대한민국의 것인 동시에 전 세계의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향한 여정을 함께할 모든 이에게 ‘빛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국제사회가 당면한 공통적인 과제를 함께 풀어가는 ‘다자주의적 접근’도 제시했다.
연설에서 “같은 문제를 겪는 모든 국가가 함께 머리를 맞대는 ‘다자주의적 협력’을 이어갈 때 평화와 번영의 밝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유엔의 기본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더 협력하고, 더 신뢰하고, 더 굳게 손잡아야 한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다자주의적 협력의 길에 대한민국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또 인공지능(AI) 안보 기술에 대한 국제사회의 역량과 책임 있는 이용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AI 기술이 안보 역량을 결정하고 사이버 공격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시대, 우리는 ‘보이는 적’을 넘어 ‘보이지 않는 적’과 맞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내일(24일) 안보리 의장으로서 주재하는 공개토의 자리가 인공지능의 책임 있는 이용을 촉진하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국은 이번 달 안보리 의장국을 맡고 있으며, 이 대통령은 한국 대통령 중 처음으로 안보리 의장 자격으로 유엔 토의를 주재한다.
이 대통령은 다음달 31일부터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도 홍보했다.
이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APEC AI 이니셔티브’를 통한 AI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자 한다”며 “‘모두를 위한 AI’가 국제사회의 뉴노멀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