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이 24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5세. |
김대중평화센터 관계자는 “김 이사장이 평소 지병이 있었는데 최근 상태가 악화돼 별세했다”고 밝혔다.
1950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난 고인은 군사정권 시절 부친의 민주화 투쟁을 곁에서 지켜온 동반자였다. 1976년 김 전 대통령이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투옥되자 모친 이희호 여사와 함께 구명 운동을 이끌었고, 당시 이 여사 등이 입에 십자가 모양의 검은 테이프를 붙이고 벌인 침묵 시위도 고인의 기획으로 전해진다.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때는 시위 배후 조종 혐의로 지명수배돼 3개월간 도피 생활을 하다 체포돼 고문을 겪기도 했다. 이후 미국 망명길에 오른 부친을 따라 ‘미주인권문제연구소’ 이사로 활동하며 해외 사회의 한국 민주화 지지를 이끌어냈다. 고(故) 김근태 전 의원 고문 사건을 세상에 알린 부인 인재근 전 의원의 녹음을 뉴욕타임스에 제보해 국제사회의 연대를 이끌어낸 것도 그의 역할이었다.
1997년 대선에서는 김 전 대통령 승리에 기여했다. 자신이 세운 정치 홍보·기획사 ‘밝은 세상’을 통해 당시 인기 그룹 DJ DOC의 노래를 개사한 선거송 ‘DJ와 함께 춤을’을 제작, 선거 현장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김대중 정부 말기 비리 사건으로 수감되기도 했으나, 2007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돼 제17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부친 서거 이후에는 ‘재단법인 김대중기념사업회’(현 김대중재단)를 설립하고, 2019년부터는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을 맡아 부친의 유지를 잇는 데 힘써왔다.
김대중평화센터는 “김 이사장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신중한 성품으로 대중에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아버지의 영광 뒤에서 고난을 함께 짊어지고 민주주의 여정의 동지로 살아왔다”는 평가를 전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신선련 씨와 아들 종대·종민 씨가 있다. 빈소는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2호실에 마련됐으며, 장례는 가족장으로 치러진다. 김대중평화센터와 김대중재단이 장례를 주관한다.
양동민 기자 yang00@gwangnam.co.kr
양동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