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9일 광주 서구 치평동행정복지센터.
평소보다 일찍 출근한 직원들은 각자 업무에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보고 실제로 각종 민원서류를 출력해보는 등 분주한 모습이었다.
전날까지만 해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모바일 신분증, 주민등록증 초본, 인감증명서, 본인서명사실확인 등 정부24 서류발급서비스가 중단됐기 때문이다.
정상화 소식을 접하지 못하거나 ‘아직 온라인은 불안하다’고 느낀 시민들이 아침 일찍부터 방문해 번호표를 뽑고 대기하는 모습도 목격됐다.
다행히 행정시스템과 무인민원발급기 등의 정상화로 우려됐던 ‘민원 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행정복지센터 직원은 “불안한 마음에 평소보다 일찍 집을 나섰다. 다행히 출근 전에 대부분의 시스템이 복구돼 민원 응대에 큰 문제는 없다”며 “민원인들도 정부 시스템 마비 등 상황을 알고 있어서인지 많이 양해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체국에서는 금융서비스, 택배 등 관련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시민들의 불편이 여전했다.
특히 고기, 생선, 과일 등 신선식품 소포 접수 서비스가 중단돼 이용객이 헛걸음을 하는 사례가 이어졌다.
실제 우체국 창구 곳곳에는 ‘신선식품(냉동·냉장) 소포 접수가 어렵다’는 안내 푯말에 세워져 있었다.
때문에 이날 추석을 맞아 지인들에게 선물할 식품을 가지고 우체국을 찾은 일부 시민들은 발길을 돌려야 했다. 예금 업무 역시 신분증 스캔이 불가능해 수기 작성 방식으로 대체했다.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e하늘장사정보시스템’도 화재 여파로 서비스가 제한됐다.
이에 영락공원 측은 지역 내 장례식장에 ‘화장장 인터넷 예약 불가’와 관련한 공지와 함께 유족에게 팩스 접수를 안내토록 했다.
유족들은 고인의 이름으로 가예약을 걸어둔 뒤 이메일이나 팩스로 접수신청서와 사망진단서를 보내 간신히 예약을 확정하는 방식으로 화장장을 예약하는 불편함이 이어졌다.
소방당국의 행정시스템도 아직 완벽하게 복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화재 이후로부터 나흘간 진행된 복구작업 결과 출동 장소와 지령을 안내하는 구급단말기는 되살아났지만 일부 시스템은 문제가 여전한 상태다.
현재 119상황실에 전달되는 신고 현장의 상세 위치가 담긴 GPS·와이파이가 잡히지 않아 출동에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화재는 지난 26일 오후 8시20분께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무정전전원장치 배터리 교체 작업 중 폭발로 시작됐고 27일 오후 6시께 완전히 진화됐다.
정부는 긴급복구에 나섰고 이날 오후 4시 기준 정부24와 우체국 금융서비스 등 73개 행정정보 서비스를 재가동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