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특성 반영…지속 가능한 먹거리 비율 높여야"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지역 특성 반영…지속 가능한 먹거리 비율 높여야"

[동구 먹거리 정책 선포식·정책 포럼]
허남혁 대표 "도시농업·로컬푸드·커뮤니티 활성화"
임택 청장 "마을사랑채 등 활용 먹거리 공동체 집중"

임택 광주 동구청장은 29일 청사 6층 대회의실에서 ‘먹거리 정책’ 발표를 통해 먹거리 기본권, 지역경제, 지속 가능성, 민관협치 등 핵심비전 4가지를 제시했다.
허남혁 삶전환연구소 대표가 29일 ‘도시형 먹거리계획 수립·실천사례’란 주제 발표를 통해 먹거리 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광주 동구가 먹거리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지역 특성이 반영되고, 지속 가능한 먹거리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동구는 29일 청사 6층 대회의실에서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공동체 조성’이라는 주제로 동구 먹거리 정책 선포식·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임택 동구청장, 허남혁 삶전환연구소 대표, 김능희 서울시 식품정책과 식생활개선팀장, 오미란 전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여성정책팀장과 주민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먹거리위원회 위촉식, 먹거리 선포식, 주제발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허남혁 대표는 ‘도시형 먹거리계획 수립·실천사례’란 주제 발표를 통해 캐나다 토론토, 프랑스 파리 등 해외도시 사례를 언급하며 먹거리 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허 대표는 “지역 먹거리의 핵심은 도시농업·로컬푸드·커뮤니티 활성화, 학교·공공 급식 개선이다”며 “토론토의 지역 농업 활성화와 시민건강 증진을 위한 푸드뱅크, 푸드쉐어, 커뮤니티푸드센터 등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라고 말했다.

이어 “프랑스 정부는 2017년 먹거리 국민 대토론을 진행해 정책 로드맵 반영과 먹거리법을 제정했다”며 “프랑스 파리 단체급식의 지속 가능한 먹거리(인증 농축수산물) 비율은 2019년 53.1%였다”고 조언했다.

김능희 식생활개선팀장은 밀라노 도시먹거리 정책협약을 언급하며 “서울, 파리, 런던, 뉴욕, 토론토 등 300개 도시(2025년 9월 기준)가 참여한 협약의 주 내용은 먹거리 낭비 최소화, 도시 먹거리·경제·환경 정책 연계다”며 “비만 관련 질병문제 대처, 로컬푸드 지원, 도시-농촌 간 먹거리 저장·가공·유통 관련 기술과 인프라 지원 등이 37개 과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은 2017년부터 먹거리시민위원회를 구성해 지속 가능한 먹거리체계 실현, 건강한 급식 환경 조성을 위한 서울미래밥상, 먹거리 정책 방향·지표 등을 설정했다”고 언급했다.

임택 청장은 ‘먹거리 정책’ 발표를 통해 먹거리 기본권, 지역경제, 지속 가능성, 민관협치 등 핵심비전 4가지를 제시했다.

임 청장은 “성인 비만율·먹거리 취약 인구의 증가는 개인 문제가 아닌 공동체가 함께 풀어가야 할 문제다”며 “취약계층 대상 식생활 관리 강화를 시작으로 세대·계층에 맞춘 식생활 교육·영양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마을사랑채, 공유부엌 등 기반시설을 활용한 먹거리 공동체 활성화에 집중하겠다”며 “생산자와 소비자 간 직거래 활성화를 위해 먹거리에 대한 생산·유통·소비 등을 하나의 선순환 체계로 묶어 관리해 지역 구성원 모두에게 안전하고 좋은 식품을 공급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동구 먹거리정책 선포식·정책포럼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광주 동구가 공동 주관했다.
송태영 기자 sty1235@gwangnam.co.kr         송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