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가데이터처 2025년 사회조사 결과 |
![]() |
| 국가데이터처 2025년 사회조사 결과 |
사회 신뢰도가 2년 전에 비해 떨어지며 관련 조사 이래 처음 감소했다.
국가데이터처는 11일 이같은 내용의 ‘2025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평소 외롭다고 응답한 비중은 38.2%로 나타났다. 외로움은 올해 처음 조사하는 항목이다.
‘자주 외롭다’, ‘가끔 외롭다’의 비중은 각각 4.7%, 33.5%로 나타났다.
‘외롭지 않음’ 응답자는 ‘별로 외롭지 않다’(43.5%)와 ‘전혀 외롭지 않다(18.3%)를 포함해 61.8%였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평소 외로움을 더 느끼며, 50대 이상은 10명 중 4명 이상이 외로움을 느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50~59세 41.7%, 65세 이상은 43.4%로 조사됐다.
특정 상황에서 도움받을 수 있는 사람도 없고, 평소 교류하는 사람도 없다고 응답한(사회적 관계망 없음) 비중은 전체의 5.8%로 나타났다.
그중 사회적 관계망이 없고 외롭다고 응답한 사람은 3.3%, ‘자주’ 외롭다고 응답한 사람은 0.9%다.
생애단계별 로는 사회적 관계망이 없으면서 외롭다고 응답한 비중은 65세 이상(고령층)이 4.5%로 가장 높고, 그다음은 40~64세(중장년층) 3.6%, 19~34세(청년층) 2.0% 순이었다.
데이터처 관계자는 “고립·은둔 연구자의 요청으로 이번에 외로움 조사 항목을 신설했다”며 “사회적 관계망이 없으며 외로움 인구는 추산할 때 150만여명이 된다”고 설명했다.
외출 횟수로 보면 일주일에 1일 미만 외출하거나 집 밖으로 거의 외출하지 않는 비중은 2.7%로 집계됐다.
외출하지 않는 주 이유로는 장애 또는 건강상 어려움이 68.8%로 가장 높았고, 경제활동 어려움(11.1%), 대인관계 어려움(7.2%), 다른 일에 몰두하느라(5.2%) 순이었다.
우리 사회를 믿을 수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올해 조사에서 54.6%로 2년 전보다 3.5%p 줄었다. 이는 2019년 관련 조사 이래 처음으로 감소했다.
‘매우 믿을 수 있다’는 4.2%에 그쳤으며, ‘약간 믿을 수 있다’는 50.4%로 집계됐다.
믿을 수 없다는 비중은 45.4%로 2년 전보다 3.5%p 늘었다. ‘별로 믿을 수 없다’가 40.0%, ‘전혀 믿을 수 없다’가 5.3%로 각각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10대가 59.7%로 사회 신뢰도가 가장 높았으며, 20대(52.0%), 30대(49.1%)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사회조사는 10개 부문을 2년 주기로 매년 5개 부문씩 조사한다. 올해는 복지·사회참여·여가·소득과 소비·노동 부문이 포함됐다. 조사 기간은 지난 5월 14∼29일이다.
송태영 기자 sty1235@gwangnam.co.kr
송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11 (화) 20: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