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인구 사수’ 전략이 필요하다
검색 입력폼
독자투고

‘청년인구 사수’ 전략이 필요하다

송태영 경제부 기자

[취재수첩] 지역청년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우리나라는 지난 2021년부터 총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인구 고령화 속도가 빨라져 2025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이 나왔다. 또 수도권 쏠림으로 지역은 소멸 위험에 놓여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직업계고 졸업생의 지역 정착’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의 마이스터고 학생 18%만이 졸업 후 지역에 정착했다. 이는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전북(15%) 다음으로 저조한 수치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동일 지역 정착률은 41%로 조사됐다. 경기 63%, 부산 59%, 서울 57% 순으로 높았으며 전남은 43%로 집계됐다.

이동지역은 경기지역으로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경기는 부산을 제외한 모든 시도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의 정착지 2순위 내에 들었다. 특히 인천(34.29%), 강원(37.5%), 충북(54.84%), 전북(35.0%)은 경기 지역 정착 비율이 가장 높았다. 광주와 전남은 각각 17.65%, 28.57%로 나타났다.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정부나 지자체는 출산지원금을 확대하고 공공기관 이전, 기업 유치, 일자리 창출, 귀농·귀촌정책 등 인구 유입에 힘을 쏟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지방소멸 위기에 대한 대응책으로 고향사랑기부제가 2021년 10월 19일 제정돼 올해 1월 1일 시행됐다. 일본도 2008년부터 고향납세제도 운영으로 수도권 인구 집중과 지방소멸에 대응하고 있다.

인구 감소는 국가재정 부담 증가, 내수 시장·교육 시스템 붕괴, 생산 인구 감소 등 다양한 위기를 초래한다. 이에 출산과 보육을 장려하고 결혼하고 싶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자체는 기업유치, 일자리 창출·지원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 지역인재에게 장학금을 주고 양질의 일자리, 다양한 복지정책 확대에 나서면 가속화되는 청년인구 유출문제는 완화될 수 있다.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다. 지역공동체가 산업 인프라, 일자리, 청년복지 등 체계 정비에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