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고령층 경제활동 증가…양질의 일자리 절실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고령층 경제활동 증가…양질의 일자리 절실

광주·전남에 은퇴 이후 경제활동을 이어가는 60세 이상 고령층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다. 광주는 절반 가까이 되고 전남은 60%가 넘는다고 한다.

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중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거나 취업을 위해 구직활동 중에 있는 사람을 말한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올해 2분기 기준 광주의 60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17만8000명으로 전체 고령층의 47.8%에 달했다. 이는 1분기 17만1000명보다 7000명 가량 늘어난 것이다.

전남도는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1분기 36만4000명에서 2분기 37만 2000명으로 8000명 증가했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전체 고령층의 60.1%나 됐다.

이같은 현상은 광주·전남의 열악한 산업 구조, 높은 고령층 비중, 낮은 연금 등 복합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먼저 자영업과 농업 중심의 산업 구조로 정년 제한이 없이 나이가 들어서도 할 수 있다.

특히 전남은 고령화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기 때문인지 고령층 경제활동 참가율 역시 제주(61.2%)에 이어 전국 17개 시도 중 두 번째로 높다.

여기에 연금 또한 턱없이 낮다. 광주·전남 4월 노령연금 월 수령액이 각각 55만3265원, 44만5119원 등 평균 49만9192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1인 기준 노후 최소생활비’인 136만 1000원에 37%다.

다시 말해 연금만으로는 안정적인 노후 생활이 어려워 수많은 고령자들이 생계를 위해 계속 일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서도 고령층의 근로 희망 사유 1위(54.4%)가 ‘생활비에 보탬’이었다고 한다.

고령사회에 접어든 우리나라는 이제 노년층 일자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앞으로 단순한 소득 보전 차원을 넘어 사회적 고립을 막고 자존감을 회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나가야 할 때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