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는 전남도의 절박한 심정이 담긴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정부차원의 지원을 약속해 해결의 실마리가 보였던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가 무안군의 소극적인 태도로 여전히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한 조치라는 것이다.
실제로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로 대통령실은 곧바로 광주 군공항 이전 TF를 출범시켰고,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국방부,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 등 정부·지자체가 참여하는 광주 민간·군공항 이전을 위한 6자 협의체(TF)까지 구성했다.
하지만 6자 TF는 지난 6월 이 대통령의 지시 이후 지금껏 첫 공식회의조차 열리지 않고 있다. TF 구성 등을 논의하기 위한 사전 실무협의만 2∼3차례 진행했고, 최근에는 실무협의도 없이 대통령실에 자료 제출만 해왔다.
이 과정에서 무안군이 군공항 이전 후보지 선정을 공모 방식으로 바꿔 달라고 요구하면서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이에 전남도가 이처럼 이례적인 입장문을 낸 것이다.
전남도는 이날 입장문에서 “지금 우리는 무안국제공항을 진정한 서남권 거점공항으로 키우고, 무안군이 미래 발전 혁신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는 천재일우의 기회를 맞았다”며 “‘물 들어올 때 노 젓겠다’는 비상한 각오로 힘을 모아야 할 순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광주 민간·군공항이 이전된다면 무안공항은 명실상부 동북아 관문공항으로 자리매김하는 등 지금이 무안군 미래 발전을 위한 전환점”이라며 “미래 첨단 에어로시티 등 대규모 지역개발 전략과 연계한다면 무안이 서남권의 혁신거점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다음날인 지난 20일 SNS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이 ‘민주당이 호남에 진 빚을 갚겠다’는 마음으로 직접 챙겨주는 이번 기회가 무안국제공항을 살리고 무안과 전남·광주의 미래성장동력을 만들어낼 마지막 황금같은 기회”라고 말했다.
지금이 광주 민간·군공항 이전의 골든타임이라는 점을 광주시와 전남도, 그리고 무안군은 잊지 말아야 한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