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 해상풍력발전사업 순항 기대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전남 해상풍력발전사업 순항 기대

전남도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해상풍력 발전사업 추진에 숨통이 트였다.

그동안 이 사업의 걸림돌로 작용했던 ‘습지보전법 시행령’이 오늘부터 개정·시행되면서 송전선로로 환경보호와 사업비 절감, 시공기간 단축 효과가 있는 가공선로(공중에 설치한 전선로)를 설치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예전 시행령에서는 습지보호구역 내에서는 해저 송전선로만 설치가 가능했다.

해저 송전선로는 막대한 비용과 시공기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전남도가 추진 중인 집적화단지 공동접속설비 구축을 위해 바다 밑으로 송전선로를 설치하면 3200억원의 건설비용과 70개월의 시공기간이 걸리는 데 반해 섬과 섬, 육지 사이 2㎞ 이내에 설치가 가능한 가공전선로는 140억원의 비용과 32개월의 시공시간만 든다는 것이다. 30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 기간도 38개월이나 단축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같은 내용의 시행령 개정까지에는 전남도의 노력이 컸다.

그동안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와 현장을 방문해 해저 송전선로가 막대한 비용이 들고 근해지역 짧은 거리에서는 오히려 매설 과정에서 갯벌 생태계를 훼손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설명했고 결국 시행령 개정 협조와 공감을 얻어냈다. 신안군과 공동 발주한 ‘단거리 갯벌구간 내 가공선로 횡단 시 환경영향 검토 용역’도 단거리 구간에서는 해저 송전선로보다 가공선로가 더 유리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에 따라 전남도가 지난해 4월부터 신안 자은·임자도 일대에 추진중인 10개 단지 3.2GW 규모의 신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조성사업은 속도를 내게 됐다.

집적화단지는 지자체 주도로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 수용성과 환경성을 확보해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집단으로 설치·운영하는 구역을 말하며 오는 2033년까지 19조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3.2GW는 해상풍력 설비용량 기준 세계 5위인 덴마크의 보급실적(3GW)을 웃돌며 현재 국내 해상풍력 보급물량(124메가와트·㎿)의 25배에 이른다고 한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 심의만을 남겨둔 전남도의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순항하길 기대한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3일 오전예보]가끔 구름많음, 4일까지 일교차 커
- 트럼프 "결정했다"지만…상호관세 막판까지 안갯속
- "담양을 전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고장 만들겠다"
- 4·2 담양군수 재선거 최종 투표율 61.8%
- '혁신당의 반란' 담양군수에 정철원 당선
- 불펜 또다시 무너졌다…KIA, 삼성에 2-4 패
- [독자권익위원 칼럼]계엄과 게임
- 광주교통공사, 전동차 탈선 가정 실전 훈련
- 유정복 시도협 회장 "尹 탄핵 심판, 헌재 결정에 승복해야"
- 광주 ‘첨단’·전남 ‘뿌리·관광’ 유학생 유학 비자 발급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