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폐업 위기 내몰린 소상공인 대책 내놓아야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폐업 위기 내몰린 소상공인 대책 내놓아야

폐업한 호남권 소상공인 대다수가 생계유지를 위해 창업하고 평균 6.6년만에 수익성 악화와 매출 부진을 견디지 못해 폐업을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폐업시 짊어진 평균 부채액은 1억 588만원이나 됐다.

최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25 폐업 소상공인 실태조사’를 보면 경기 불황에 허덕이다 결국 폐업에 이른 호남권 지역 소상공인들의 슬픈 현실을 드러다 볼 수 있다.

이 조사는 지난 2021년 이후 노란우산 폐업공제금을 지급 받은 폐업 소상공인 82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호남권은 전체의 18%인 148개사가 조사에 참여했다고 한다.

여기서 소상공인은 소기업중 년 매출액이 제조업 120억원 이하, 도·소매업 50억 원 이하, 음식, 숙박업 10억 원 이하 등의 조건을 갖춘 상시 근로자 수가 5~10인 미만인 개인이나 법인 형태의 사업체를 말한다.

개인 사업자와 사업자 등록증 없는 농민, 어민 등이 포함돼 있고 혼자 근무하거나 1~2명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자영업자도 넓은 의미의 소상공인이다.

이에 따르면 호남권에서 창업 후 폐업까지 평균 기간은 ‘6.6년’이다. 1년 이상~3년 미만이 39.9%로 가장 많고 10년 이상 21.6%, 5년 이상~10년 미만(18.2%) 등 순이었다. 1년도 채 안돼 문을 닫는 경우도 5.4%다.

폐업시 평균 부채액은 1억586만원으로 전국 평균(1억 236만원)보다 높다. 부채액별로 살펴보면 1억원 이상이 31.8%로 가장 많았고 이어 2500만원 미만 (27.7%), 5000만원~7500만원 미만(20.3%)등이다.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전세사기 피해주택 LH 매입사업 효과 ‘쑥’
- 美재무 "상호관세 발표, 미 동부시간 2일 오후 3시 있을 것"
- "무등산 지켜본 광주를 작업"…서사 되새기다
- 애니 주제곡부터 음악극까지 ‘합창의 재해석’
- <오늘의 운세> 4월 2일 수요일
- ‘사상 초유’ 야구장 사고…챔피언스필드 상태는?
- 도서관 주간 통해 책과 가까워지길
- 프로야구선수협 "세상 떠난 야구팬에 선수들 큰 충격…애도"
- 이정후, 3경기 연속 안타·4경기 연속 출루…타율 0.286
- ‘전설’ 신지애, KLPGA 60회 연속 컷 통과 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