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호남선 차별 심각…지역사회 뿔났다
검색 입력폼
자치

KTX 호남선 차별 심각…지역사회 뿔났다

광주 지자체·정치권·시민사회 등 정부에 강력 촉구
경부선 21회 vs 호남선 1회…주말 증편 불균형 극심
‘매일 매진’…좌석 많은 신형 열차 등 당장 투입해야

강기정 광주시장이 23일 오전 광산구 송정역 광장에서 열린 ‘KTX 호남선 증편 촉구 결의대회’에 참석해 광주시의회, 광산구, 광산구의회, 시민 등과 호남선 KTX 증편을 촉구하고 있다.
“호남·전라선 열차는 언제나 매진입니다. 서울 출장은 물론이고 관광객이나 출향인들의 고향 방문도 어렵습니다.”

호남선 KTX를 이용하는 승객들은 매일 ‘좌석 전쟁’을 치르고 있다. 주말은 물론이고 평일에도 원하는 시간대의 좌석 확보는 ‘하늘의 별 따기’다. 이 때문에 KTX 호남선은 ‘지역 차별선’이라는 오명까지 뒤집어쓰고 있다.

이에 광주지역 지자체와 시민사회, 정치권이 고속열차(KTX) 호남선 운행 차별을 정부에 강력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시와 시의회, 5개 자치구, 광산구의회, 시민사회 등은 23일 광주송정역 광장에서 ‘KTX 호남선 차별·불공정 해소 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KTX 운행 개선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시의원, 박병규 광산구청장 등이 참석해 “KTX 호남선 운행 차별이 극심하다”며 즉각적인 개선을 요구했다.

광주시는 평일 기준 1일 KTX 운행 횟수는 경부선 115회, 호남선 55회로 경부선이 2배 넘게 많다. 열차를 이용할 수 있는 공급 좌석은 경부선이 1일 9만9001석으로, 호남선 3만7573석보다 2.6배 많으며, 주말에는 경부선과 3배 차이로 벌어진다. 이는 고속열차 운행 배차 횟수뿐만 아니라 차량 규모(좌석수, 신형)에서도 차별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KTX 이용객이 많아지는 주말(금~일) 경부선 KTX는 1일 21회 증편하지만 호남선은 1회 증편에 그친다.

하루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은 오전 7시∼9시, 오후 5∼7시 사이 ‘피크시간대’에도 경부선은 주말 4회 증편되지만, 호남선은 주말 증편도 없다.

이로 인한 주말 공급 좌석은 경부선의 경우 1일 11만7947석(평일대비 1만8946석, 19.1%)으로 크게 증가하지만, 호남선은 3만8960석(평일대비 1387석, 3.7%)에 불과해 주중보다 차이가 더 벌어진다.

차량 편성에서도 차별이 드러난다.

경부선은 편당 좌석 수가 많은 ‘KTX-1’과 신형인 ‘청룡’을 집중 투입하는데 반해, 호남선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은 ‘산천’이 투입된다. KTX-1은 편당 좌석이 955석이지만 KTX-산천은 편당 좌석이 379석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주말 호남선 KTX는 평균 이용객이 4만명을 넘어서면서 ‘좌석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호남선 이용객들의 ‘예매 전쟁’은 이미 수년째 이어져 오고 있고, 지역 주민들은 ‘호남선 소외’를 호소해 왔지만 별다른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광주시와 시민사회, 정치권 등은 정부와 코레일에 즉각적인 개선을 요구하면서 실현 가능한 3단계 해법도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주말과 명절, 피크시간대만이라도 좌석이 많은 KTX-1(955석)을 투입하거나 KTX-산천(379석) 열차 2대를 연결(중련열차, 758석) 운행해 좌석 공급을 늘려달라고 요구했다.

또 서대전을 경유하는 열차를 수요가 많은 호남고속 열차에 대체 투입해 줄 것도 요청했다.

중장기적으로는 평택~오송 2복선화가 완료되는 2028년에 맞춰 호남선 선로용량을 16회 이상 확보하고, 신규 도입되는 KTX-청룡(515석) 열차를 호남선에 우선 배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지역 사회에서는 당장 증편이 어려우면 좌석 수가 많은 신형 열차를 투입해서 좌석 수를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호남선에는 주로 10량 편성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데, 새로운 고속열차인 청룡은 16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또 경부선으로 운행되는 KTX-1은 20량 편성으로 1000명에 가까운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

이밖에도 광주시는 이번 집회를 통해 국토부가 호남선 열차 공급 확대와 인프라 확충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압박한다는 방침이다.

강기정 시장은 “호남선 KTX 증편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민생과제이며, 불공정 운행 해소는 국민 이동권 보장의 핵심이다”며 “정부가 호남민들의 절실한 요구에 실행가능한 정책으로 응답해야 한다”고 KTX 차별 해소를 촉구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