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24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실국장 및 관련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전남 에너지미래도시 100일 플랜 klck-of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김영록 전남지사는 24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열린 ‘전남 에너지 미래도시 구축 킥오프회의’를 주재하고 “솔라시도를 중심으로 인구 10만 명 규모의 에너지 자립도시를 조성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도시를 전남에 반드시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해 지방에 대규모 도시·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세제·규제·전기요금·정주여건 등을 대폭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남도는 이를 기회로 삼아 서남해안을 ‘에너지 수도’로 만들 전략을 내놨다.
전남도가 구상하는 에너지 미래도시는 산업시설·재생에너지 집적화지구·정주 배후도시로 구성된다. 산업시설 지구는 RE100 이행이 필요한 글로벌 기업을 겨냥해 안정적 재생에너지 공급을 보장하고, 대규모 투자 유치를 노린다. 특히 과기정통부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최근 재생에너지 기반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설립을 추진하면서, 전남도는 이를 솔라시도에 유치하기 위한 수조 원대 투자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대와 목포대·순천대를 통한 맞춤형 인재 양성 계획도 병행한다.
재생에너지 집적화지구에는 풍부한 태양광·풍력 자원을 모아 발전 설비를 집중 배치하고, 송전망과 변전소 등 전력 인프라를 확충한다. 정부에 공공개발 시 전력계통 우선 배정을 건의해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배후 정주지구에는 근로자와 가족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주택, 국제학교, 병원, 호텔, 문화·체육시설을 두루 갖춘 정주공간을 조성한다. 인구 10만 명 수요를 고려한 전기·용수·교통 등 기반시설도 체계적으로 확충할 예정이다.
도는 실국별 역할분담 체계를 마련하고 전남연구원, 녹색에너지연구원, 전남개발공사, 전남테크노파크 등 전문가 그룹과 매주 전략회의를 열어 실행계획을 다듬는다. 올해 하반기 RE100 특별법 제정 시 RE100 산단 지정을 추진하고, 2026년 지방 신도시 지정 이전에 도시조성 기본계획을 완성한다는 목표다.
김 지사는 “풍부한 재생에너지와 용수, 광활한 부지를 갖춘 솔라시도는 에너지 미래도시의 최적지”라며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전남이 선도할 수 있도록 선제적 준비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정렬 기자 holbul@gwangnam.co.kr
박정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