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24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실국장 및 관련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전남 에너지미래도시 100일 플랜 klck-of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전남도 |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24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전남 에너지 미래도시 구축 킥오프회의’를 주재하고 “풍부한 재생에너지와 용수, 광활한 부지를 갖춘 솔라시도는 에너지 신도시의 최적지”라며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해 반드시 전남에 유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해 지방에 대규모 도시·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세제·규제·전기요금·정주여건 등을 대폭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이 같은 정부 구상과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블랙록 간 업무협약(MOU)을 중첩된 기회로 보고, 서남권을 ‘에너지 수도’로 만들 핵심 전략을 가동했다.
도는 올해 하반기 제정이 예상되는 RE100 특별법에 맞춰 솔라시도를 중심으로 한 RE100 산단 지정을 추진한다. RE100 산단은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공급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 입주를 이끌어내는 핵심 거점으로, 전남도는 이를 기반으로 인구 10만 명 규모의 자립형 신도시를 완성한다는 구상이다.
‘에너지 미래도시’는 산업시설 지구, 재생에너지 집적화 지구, 정주 배후도시 등 크게 3개 축으로 설계된다.
먼저 산업시설 지구는 RE100 이행이 필요한 글로벌 기업의 생산·연구 거점으로, 안정적 전력 공급과 세제·규제 혜택을 통해 대규모 투자 유치를 노린다. 재생에너지 집적화 지구는 서남해안의 태양광·풍력 자원을 집중 배치하고, 송전망·변전소 등 전력 인프라를 확충해 효율을 극대화한다. 정주 배후도시는 근로자와 가족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주택, 국제학교, 병원, 문화·체육시설을 두루 갖추고 전기·용수·교통 등 기반시설을 체계적으로 확충한다.
특히 도는 해남 산이면 구성지구 일원 120만 평을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로 조성한다. 지난 2월 전남도는 글로벌 투자그룹 스톡 팜 로드의 자회사 퍼힐스(FIR HILLS)와 양해각서(MOA)를 체결하고, 2028년까지 7조 원, 2030년까지 총 15조 원을 투자받아 3GW 이상 규모의 AI 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센터,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는 국내 재생에너지 기반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설립을 추진하는 블랙록의 전략과도 맞물려, 전남 유치 가능성을 한층 높일 전망이다.
도는 이 같은 투자 유치와 산업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인재 양성에도 나선다.
한국에너지공대와 목포대, 순천대 등 지역 대학과 협력해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전남연구원·녹색에너지연구원·전남개발공사·전남테크노파크 등 전문가 그룹과 매주 전략회의를 열어 세부 실행계획을 다듬는다.
향후 일정도 구체적이다. 도는 100일 플랜을 통해 연말까지 도시 조성 기본계획을 완성하고, 내년부터 단계별 개발에 착수한다. 2026년 초 정부의 지방 신도시 지정 이전에 선제적으로 준비를 마쳐, 전국적인 경쟁 속에서도 ‘전남형 에너지 신도시’가 확정될 수 있도록 속도를 낸다.
김 지사는 “이번 사업은 단순한 지역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에너지 체계 전환과 글로벌 AI 산업 생태계 구축을 선도하는 국가 전략 프로젝트”라며 “에너지와 산업, 인재가 모이는 새로운 신도시 모델을 만들어 전남이 세계 시장을 이끄는 전초기지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이현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