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립5·18민주묘지관리소는 23일 ‘신묘역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보고회에는 5·18 일부 공법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와 오월어머니집,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등 30명이 참석했다.
지난해 6월 착수한 용역은 1묘역 안에 있는 참배광장·역사광장 부지에 봉안묘·봉안당 형태로 묘역을 확충하는 안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전달했다.
신묘역 기본 구상의 주요 내용은 기존 5·18묘역과 동일한 봉안묘, 향후 안장대상자인 1900여기 수용, 기존 5·18민주묘지 시설 재배치를 통한 상징성 유지방안 수립 등이었다.
용역 업체는 면적 충족, 묘역배치 가능성, 민주묘지의 상징성 등 여건분석과 가용지 분석결과 등을 통해 5가지 대안을 선정했고, 이중 3가지를 대안을 제시했다.
이중 첫 번째 대안은 현 참배광장에 신묘역 조성하는 것이었다. 기존 참배광장을 현 민주광장으로 변경, 동선체계 변경으로 공간 명확을 꾀하고자 했다.
두 번째 대안은 참배·소규모 행사기능은 유지하되 대규모 행사는 민주광장을 확충·신설하는 것이었다.
끝으로 1묘역 배후산지에 신묘역을 조성하는 대안이 제시됐다. 그러나 참배광장의 기능은 유지하지만 묘역 배후를 둘러쌓던 산지의 형상이 훼손된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3가지 대안 중 용역업체는 상징성, 기존시설과의 연계, 사업기간 등 종합적인 검토 결과로 참배기능은 유지하고 대규모 행사 공간을 확보하는 2번째 대안이 신묘역 구상에 최적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김범태 국립5·18민주묘지 관리소장은 “이번 보고회는 최종안이 확정되는 자리가 아니고 단지 논의하는 자리일 뿐이다”며 “신묘역 조성에 대해 더 이상 시기를 늦출 수 없다. 유족회가 걱정하고 우려하는 상황은 없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용역 보고회에는 공법단체 중 유일하게 유족회는 참석하지 않았다.
유족회는 항의문을 통해 “독단적인 추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신묘역 연구용역 추진은 오월 단체들과 충분히 협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진행했다”며 “오월 단체들간 불필요한 갈등을 초래하며 5·18민주화운동 정신과 가치를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묘역 확장 문제는 단순한 공간의 확장을 넘어, 묘지의 역사적 상징성과 5·18운동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것이 핵심이다”며 “무조건적인 반대가 아니다. 기존 묘지의 역사적 상징성과 5·18의 정체성인 광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전 및 확장을 충분히 논의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